정치 국회·정당·정책

시작도 안했는데..."평창올림픽 최소 2,244억 적자"

감사원 올림픽 준비실태 감사

재정계획에 사업비 적게 반영

스폰서 수입 등은 부풀려져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적자 행사’가 될 수 있다는 감사원의 감사 결과가 나왔다.

감사원은 20일 ‘2018평창동계올림픽 준비실태’ 감사 결과를 통해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의 재정계획에 실제보다 사업비는 적게 반영되고 예상 수입은 부풀려져 최소 2,244억원 이상의 적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회조직위원회가 지난해 10월 수립한 제3차 대회재정계획에 따르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지원금, 스폰서 수입 등으로 구성된 총수입은 2조2,731억원이고 총지출도 같은 금액이다. 적자가 발생하면 국가가 부담하게 돼 있다.

관련기사



조직위원회는 재정계획의 지출 내역에 기념주화 제작·판매 사업 등 5개 사업의 예상 사업비 1,233억원을 적게 반영했다. 테스트이벤트 개최, 조직위원회 주 사무소 신축 등 8개 사업에 들어갈 비용 711억원은 반영하지 않았다. 재정계획의 수입 중 IOC 지원금 4,496억원은 부가가치세(최소 300억원) 차감이 예정돼 있어 실제로 늘어나게 될 사업비 지출과 줄어들 수입을 고려하면 2,244억원 이상의 사업비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개·폐회식 운영 대행, 교통관리센터 구축 및 운영 등 다른 5개 사업 예상 비용은 각 담당 부서가 요구한 금액보다 3,353억원이 적게 반영됐다. 수입 내역에서도 국내 스폰서 수입이 지난 4월 기준 2,957억원 부족한데다 성화봉송 수입목표액 200억원은 달성 여부가 불확실하며 후원기업들의 협찬 물품으로 구성되는 현물 수입 3,070억원 역시 현금 수입 대체 여부가 불확실해 대회 운영 과정에서 추가 적자 발생이 우려된다는 것이 감사원의 지적이다.

감사원은 이러한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조직위원회에 불필요한 예산 지출을 최대한 억제하고 자체사업 수입을 늘리는 등 사업비 확보 방안을 마련하라고 통보했다. 조직위원회는 “감사원 감사결과 사항은 제4차 재정계획 수립 때 검토해서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