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소기업경영대상] 혁신의 힘…한계기업은 있어도 한계산업은 없다

유리·목재 등 국내전통산업군 '소리없는 변화' 진행

'영일유리공업' 금형 교체 시스템 개발…생산시간 ↓

'예림임업'은 기능성 강화로 프리미엄 도어 시장 선도



가상현실(VR)과 인공지능, 드론, 사물인터넷 등 세상을 뒤바꿀 신기술들이 넘쳐나는 세상이다. 정부 역시 미래 유망 신기술 투자에 적극적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한계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작업도 서두르고 있다. 물론 좀비 기업의 구조조정은 우리 경제에 시급한 과제다. 하지만 한계기업은 있어도 한계산업은 없는 법이다. 국내 전통산업군에 속한 상당수의 기업들은 글로벌 경제 여건이 불확실한 가운데서도 소리 없는 혁신작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화장품용 유리용기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영일유리공업이 대표적인 사례다. 화장품 유리용기 제조업은 전형적인 전통산업이지만 영일유리공업은 한국 화장품을 짝퉁 제품으로부터 지켜내는 일등 공신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출시 후 한 달도 되지 않아 모방제품이 홍수처럼 쏟아지는 중국시장이지만 일부 화장품의 경우는 짝퉁 제품을 찾아보기 힘들다. 바로 영일유리공업의 유리용기 덕분이다.


영일유리공업은 화장품 용기처럼 다품종 소량 제품도 자동화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금형을 교체하는데 소요되던 시간을 반나절에서 30분 이내로 단축시킨 기술을 1987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기 때문이다. 벌써 30년 전 이야기다. 영일유리공업의 소리 없는 혁신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지난해 분당 최대 180개의 용기를 자동 생산할 수 있는 최신설비를 추가로 도입한 이 회사는 공장장이라는 직함이 없다. 칠순을 넘긴 대표가 아직도 직접 현장을 진두지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목재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예림임업도 마찬가지다. 한때 국내 1위 가구업체였던 보루네오 가구의 최대주주로 올라선 이 회사는 ‘벨로체’라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어시장의 혁신을 선도해 가고 있다. 36㎜ 두께가 표준화된 도어시장에 40㎜두께의 고급도어를 선보인데 이어 도어 프레임에 동종업계 최초로 고무 가스켓을 적용했다. 중후한 디자인은 물론 차음성 등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1차 고객인 시공업자들의 반응은 차가웠다. 소비자들의 선택권이 제한된 시장에서 작업의 번거로움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벨로체 도어를 접해본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타고 예림임업은 국내를 넘어 세계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같은 혁신 작업이 이어질 경우 K-뷰티나 K-푸드가 세계 소비자들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는 것처럼 국내 중소기업들의 제품들도 글로벌 무대에서 승승장구하는 날이 머지않아 올 것이다. /안광석 서울경제비즈니스 기자 business@sedaily.com

안광석 서울경제비즈니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