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안부재단 “日출연금, 소녀상 이전과 별개”

일본군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논란 속 출범

김태현 이사장 “10억엔, 장학사업에 사용 있을 수 없어” 日언론 보도 부인

대학생 20여명 간담회장 점거 농성, 시민단체 ‘한일합의 무효화’ 촉구

‘화해·치유 재단’이 공식 출범한 28일 오후 김태현 재단 이사장이 서울 중구 순화동 재단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마친 뒤 행사장을 나서다 재단 출범에 반대하는 한 시민단체 회원이 뿌린 캡사이신으로 보이는 액체를 맞아 괴로워하고 있다. /연합뉴스‘화해·치유 재단’이 공식 출범한 28일 오후 김태현 재단 이사장이 서울 중구 순화동 재단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마친 뒤 행사장을 나서다 재단 출범에 반대하는 한 시민단체 회원이 뿌린 캡사이신으로 보이는 액체를 맞아 괴로워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태현 일본군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이사장(성신여대 명예교수)이 “재단에 대한 일본 정부의 출연금은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과 별개”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 이사장은 28일 서울 중구 순화동 바비엥3 빌딩 지하에서 열린 ‘화해·치유 재단’ 현판식에 참석한 뒤 기자간담회를 열어 재단의 공식 출범을 알렸다. 한일 정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28일 ‘한국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재단을 설립하고, 일본 정부는 10억 엔(한화 107억여 원)의 예산을 출연해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 회복,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사업을 시행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김 이사장은 이날 재단 설립을 둘러싼 반대 여론을 의식한 듯 “피해자 입장에선 그간의 고통과 모진 세월 생각하면 한일 합의가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다”면서도 “설립 과정에서 만난 피해자 중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재단이 설립되면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주셨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출연금 10억 엔은 피해자 할머니의 상처 치유와 존엄을 위한 데만 쓰겠다는 게 재단의 입장이다. 이날 ‘일본 정부가 10억 엔의 일부는 장학사업에 쓰길 원한다’는 일본 언론 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는 답변을 명확히 한 것이다. 김 이사장은 “10억 엔을 장학금 사업에 사용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어떻게 와전이 됐는지 모르지만,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할머니들을 만나뵙는 과정에서 한분 한분의 사정이 달랐다”며 “지속해서 할머니·유족과 이야기하면서 용처를 파악해 맞춤형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에 대해서는 “합의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소녀상과 연계해 10억 엔이 오느냐 안 오느냐가 아니다. 전혀 별개의 문제다”라고 못 박았다.

한일정부 합의 7개월여 만에 공식 출범했지만, 재단이 넘어야 할 산은 많다. 당장 피해자·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세다. 실제로 이날 재단 설립에 반대하는 대학생 20여 명이 김 이사장의 기자간담회 장소를 점거한 채 30여 분 간 농성을 벌이다 경찰에 강제 연행됐으며, 간담회장을 떠나던 김 이사장은 한 남성으로부터 캡사이신 액체를 맞기도 했다.

화해·치유재단 이사진은 김 이사장을 포함해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김재련 법무법인 온세상 대표, 심규선 동아일보 대기자, 이원덕 국민대 교수, 이은경 법무법인 산지 대표, 이정심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당연직), 정병원 외교부 동북아국장 (당연직), 조희용 국립외교원 일본연구센터소장, 진창수 세종연구소 소장 등 준비위에 참여한 각계 인사 10명으로 구성됐다.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은 고문으로 위촉됐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