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로터리] 공정한 게임 룰 필요한 한국 영화산업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한국형 재난 블록버스터 ‘부산행’의 흥행 속도가 가히 전광석화다. 상반기 동안 다소 침체돼 있던 시장에 ‘부산행’의 흥행 질주는 올 들어 첫 1,000만 관객 영화에 대한 기대감까지 고조시키는 중이다. 그런데 ‘부산행’의 흥행에는 옥의 티가 하나 있으니 공식 개봉일 이전에 진행한 유료시사회다.

최근 기대작을 미리 보고 싶어 하는 관객들의 수요와 영화 흥행을 좌우하는 개봉 첫주 스코어를 어떻게든 끌어올리려는 영화 배급사의 공급이 결합해 이른바 ‘유료시사회’라는 개봉 행태가 보편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유료시사회는 물론 현행법을 위반하는 영업행태는 아니지만 일부 대작 영화들의 유료시사회 개최로 동시에 상영되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영화들이나 다양성 영화들의 흥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많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불공정에 관해서라면 영화 산업계의 가장 오래된 문제로 꼽히는 영화 스태프 처우개선에 관한 얘기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 2014년 영화 스태프 근로환경실태 조사에 의하면 영화 스태프의 1년간 총소득 평균은 1,455만원으로 최저임금을 가까스로 넘기는 정도다. 프로젝트별로 계약을 하는 영화 스태프의 경우 임금 체불이나 각종 불공정 행위 발생시 체계적인 대응을 하기가 어렵다. 영화산업 내 가장 낮은 곳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영화 스태프들을 위해 공정한 근로환경을 조성하고 각종 사회적인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관련기사



이러한 한국 영화업계의 불공정한 문제를 해결하고 합리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 영화진흥위원회는 2012년부터 영화산업에 종사하는 기업·단체들과 함께 ‘한국영화 동반성장 이행협약’을 포함한 3종의 공동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덕분에 표준계약서 발표, 스태프 4대 보험 적용, 부율(한국영화 대 외국영화 간 수익분배비율) 개선 등 그동안 숙원 과제였던 적지 않은 영화산업의 문제점들이 개선되기도 했다. 하지만 유료시사회와 같이 ‘공정한 게임의 룰’을 해치는 새로운 형태의 관행들 또한 나타나고 있어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이를 단순히 ‘시장경쟁의 원칙’에 따라 묵과할 경우 안 그래도 문제점으로 꼽히는 심각한 관객 쏠림 현상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영진위는 지난해 영화산업 내 불공정 관행 및 행위의 해소를 전담하는 ‘공정환경조성센터’를 설치해 영화산업의 각종 불공정 행위에 대한 신고·제보를 받고, 연중 불공정 행위를 감시하는 불공정행위 모니터링 및 공정환경 연례평가 등의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영화 스태프들의 실질적인 처우개선을 위해 기초안전망 강화 사업, 노무전문가 지원사업 등을 실시해 영화 스태프들이 영화제작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생활 향상에도 많은 지원을 하려고 한다. 많은 논의를 통해 우리 영화산업 내에 공정한 게임의 룰이 정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김세훈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김경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