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평창 올림픽 1년 반 남았는데 기업 후원금 목표치 65% 그쳐

전경련 "후원 적극 유도하려면

수백억 부가세 부담 줄여줘야"



평창 동계 올림픽을 1년 반 남짓 앞두고 한국 기업들이 모은 대회 후원금이 목표치의 65%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경제계는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하려면 후원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백억원의 부가가치세 문제를 해결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감사원이 지난 6월 내놓은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준비실태 감사결과’ 자료를 인용해 지난 4월 기준 국내 스폰서 수입 목표액 8,500억원 중 65%인 5,543억원만 모였다고 4일 밝혔다.

평창 동계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기업들의 후원을 받아 평창 올림픽 운영예산 2조2,731억원의 37.4%인 8,500억원을 충당할 계획이다. 기업들은 현금과 현물로 나눠 대회를 후원한다.


주요 대기업은 현금 후원을 위주로 현물 지원도 한다. 현물로 후원할 경우 제설장비부터 선수들이 쓸 가구·의류, 통신 장비 등 전반적인 대회 인프라 관련 물품을 제공한다.

관련기사



전경련은 기업의 동계 올림픽 대회 후원을 가로막는 장애물로 부가세를 지목했다. 기업이 조직위와 후원 계약을 맺을 때 발생하는 수백억원의 부가세도 내야 하기 때문에 이중 부담이다.

부가가치세법상 일반 재화·용역 거래는 공급자가 공급받는 자에게 부가세를 받아 과세당국에 대납한다. 하지만 현물 후원을 받는 올림픽 조직위는 마케팅 권리만 대가로 지급하고 부가세는 내지 않는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결국 후원하는 기업이 세금부담까지 동시에 져야 하는 셈이다.

송원근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현물 후원시 발생하는 부가세 문제로 기업 후원의 취지가 퇴색하고 있다”며 “평창 올림픽의 성공적 준비를 위해서 기업 후원 과정서 발생하는 세금 부담 문제를 신속히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