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평생교육 단과대학 안착하려면] 전공과정 특정분야 쏠림 탈피, 대학도 교비 투자 적극 나서야

이화여대 농성 사태가 장기화하며 대학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과 함께 운영방향에 대한 제언의 목소리가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학위·비학위 과정을 동시에 운영하는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이 사실상 유일하게 평생 학습수요를 충족시켜주는 기관이었다. 성인 학습자들은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에 있는 대학 내 평생교육원이나 전국의 약 80여개 직업학교에서 140학점을 이수하면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특히 전체 이수학점 중 약 60%를 특정 대학에서 이수하면 총장 명의의 졸업장 수여가 가능해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해 평생교육원 학위 수여자(총장 명의)는 전년(2,786명)보다 83% 급증해 5,107명에 달했을 정도다.

그밖에 온라인 강좌 비중이 높은 원격교육을 제공하며 학위를 수여하는 사이버대학이 있다.


교육부가 추진하는 평생교육 단과대학 사업은 일종의 독립채산제로 운영되던 평생교육원을 정식 학부 체제로 격상시킨 것이다. 선발 과정은 일반 신입생과 유사하게 서류(학생부·자기소개서·추천서) 및 면접(학업 역량·전공 적합성·발전 가능성·인성 등) 등의 과정을 거친다. 4년간 총 130여 학점 이상을 이수하는 것도 비슷하다. 단 일반 학생과 같은 형태로 강의를 듣기 어려운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의 상황을 고려해 주간 외에 주말·야간 등의 강좌를 운영한다. 평생교육원과 다르게 대학에서 정식 학부로 승격해 교비를 직접 투입하는 만큼 커리큘럼 구성과 교수진 등 학습환경이 평생교육원보다 여러모로 뛰어나다는 게 교육당국의 설명이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이미 상당수 대학이 오래전부터 평생교육 학부를 운영하고 있다.

관련기사



하지만 성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대학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중복돼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과도한 평생교육원 수강생 모집으로 대학가에서는 ‘학위 장사’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만큼 평생교육 단과대학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대학당국이 교비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게 교육 관계자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이번 이대 사태에서 뷰티학과 등이 논란이 됐듯이 전공 역시 특정 산업 전문인력 양성 일변도의 흐름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표적으로 컬럼비아대에서는 재직자와 퇴직자는 물론 은퇴자, 군 전역자, 장애인 등 평생학습 희망자들을 위해 ‘스쿨 오브 제너럴 스터디스(School of General Studies)’를 정규 단과대학으로 운영하고 있다. 학사 과정은 특정 산업 인력양성이 목적이 아닌 자유교양대학을 지향한다. 하버드대 역시 컬럼비아대 정도의 규모는 아니지만 ‘평생교육부(Division of Continuing Education)’를 풀타임과 파트타임으로 운영하며 학사는 물론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