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스마트폰 '빅3' 삼성 턱밑 추격

3개社 2분기 점유율 합계 20.8%로 삼성과 1.6%P차

싼값 내세워 印 등서 위력…하반기 삼성 추월 가능성도

0915A02 글로벌 브랜드 스마트폰 출하량 추이 수정10915A02 글로벌 브랜드 스마트폰 출하량 추이 수정1


중국 스마트폰 ‘빅3’의 시장점유율 합계가 올 2·4분기 처음으로 20%를 넘으며 시장 1위인 삼성전자를 턱밑까지 추격했다.

8일 시장조사업체 IDC는 글로벌 3~5위인 중국 화웨이(3,210만대), 오포(2,260만대), 비보(1,640만대)의 2·4분기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이 각각 9.4%, 6.6%, 4.8%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들의 시장점유율 합계는 20.8%로 세계 1위인 삼성전자(22.4%)와의 격차는 1.6%포인트에 불과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중국 ‘빅3’와 삼성전자와의 격차는 7.2%포인트였다.


중국의 약진 뒤에는 부부가오(BBK)그룹 계열사인 오포·비보의 놀랄 만한 성장이 바탕이 됐다. 오포와 비보의 출하량은 올해 2·4분기 각각 2,260만대와 1,640만대를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136.6%, 80.2% 급증했다. 두 브랜드의 점유율을 합친다면 부부가오그룹의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11.4%로 애플(11.8%)과 대등한 수준이다.

관련기사



최근 삼성에 특허 소송을 내고 삼성의 고위임원을 빼간 사실이 알려진 화웨이의 성장세도 가파르다. 화웨이의 2·4분기 시장점유율은 9.4%로 전년 동기(8.6%)보다 소폭 상승했다.

중국 ‘빅3’의 시장점유율은 하반기 들어 삼성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선진국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를 맞으며 전반적으로 위축된 가운데 이들의 강점인 저가 제품이 인도·인도네시아 등 신흥시장에서 위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라이언 레이스 IDC 모바일 기기 시장동향 담당자는 “중국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인도·인도네시아·중동 등 다른 고성장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며 “중국 내에서만 사업을 하는 저가 주문자부착상표방식(OEM)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현지 제조사들과의 경쟁을 뚫고 신흥 시장에 효과적으로 침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