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사드 불똥 튄 K뷰티…中 화장품 위생허가·통관절차 강화

허가 1년 넘고 통관때 전수조사

납품 늦어져 지체배상·매출 피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 한반도 배치 결정으로 한중관계의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K뷰티가 가장 먼저 불똥을 맞고 있다. 중국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 화장품에 대한 보이지 않는 규제 강화가 현실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나마 아직은 기존 규제의 틀 안에서 검수 등을 강화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지만 업계는 앞으로 한중관계가 악화할 경우 중국이 관세장벽을 높이거나 수입 기준을 강화하는 등의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화장품 수출입에 필수적인 ‘위생허가’와 통관 절차 등을 앞세워 한국 화장품 기업들을 조금씩 압박하고 있다.

한 뷰티업체 관계자는 “최근 들어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위생검사가 과거보다 엄격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중국에서 기능성 화장품은 통상 이르면 9개월, 늦으면 13개월 안에 위생허가가 결정이 나는데 최근에는 1년을 넘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전했다. 그는 “유행에 민감한 뷰티업계에서 1년 넘게 허가를 내주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상 장사를 하지 말라는 이야기”라며 “허가를 받지 못하는 사이 중국 업체들이 비슷한 제품을 내놓으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한국 화장품에 대한 수입 통관 절차도 강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통상 반입 물건의 1% 정도만 뜯어서 확인했지만 사드 결정 이후 제품 전수 조사가 빈번해지고 있다. 자체 화장품 브랜드를 중국에 유통하고 있는 한 중소 뷰티기업 관계자는 “한국산 제품을 실을 컨테이너라고 하면 전수조사하는 빈도가 크게 늘어났음을 체감한다”며 “이런 탓에 과거에는 물건을 보내면 통관서류 접수한 뒤 45일 정도 걸렸는데 요새는 60일 넘게 걸려 납기일이 지연된 적도 있다”고 전했다. 그는 “납기일이 늦어지면 발주처에 지체배상금을 내야 하기도 하고 현지 매장서도 매출을 그만큼 올리지 못하니까 손해가 불가피하다”고 울상지었다.

관련기사



또 다른 화장품 업체 관계자도 “연초부터 중국이 한국 화장품 수입 물량을 100% 전수조사한다는 소문이 무성했지만 사실상 불가능한 조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며 “하지만 이번 사드 한반도 배치를 계기로 중국이 수입 물량 검수를 강화하면서 전수조사가 현실화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이 업계에 퍼지고 있다”고 걱정했다.

아직은 중국으로부터 실질적인 압박을 받지 않는 업체도 있지만 이들 역시 나날이 경색되고 있는 한중관계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한 대형 화장품 업체 측은 “지난해부터 중국에서 화장품 성분 기준 등을 꾸준히 높이고는 있지만 우리 회사의 제품은 모두 그 기준보다 더 높은 자체 기준으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현장에서도 통관 속도가 느려지거나 절차가 복잡해졌다든가 하는 이야기는 아직 없지만 한중관계가 어디로 튈지 몰라 긴장의 끈을 놓지 않으면서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국내 화장품 업계에 중국 매출은 절대적이다. 아모레퍼시픽이 지난달 발표한 2·4분기 실적에 따르면 북미 지역에서 매출이 26% 증가한 데 비해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9% 성장한 3,879억원을 달성, 글로벌 매출(4,173억원)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LG생활건강 역시 ‘후’와 ‘숨’ 등 럭셔리 화장품 브랜드가 중국 진출을 확대하면서 현지 매출이 56% 증가해 전체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

/박윤선·신희철 기자 sepys@sedaily.com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