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새누리 전당대회·지도부 선출] 단일성 집단지도체제 부활…막강해지는 여당 대표 권한

당직인선·당무 전권 맡지만

대선 지원하는 서포터 역할

후보 누구냐에 힘 결정될듯

새누리당 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9일 오후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발을 위한 새누리당 제4차 전당대회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새누리당 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9일 오후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발을 위한 새누리당 제4차 전당대회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4·13 총선 이후 혼란을 거듭해온 새누리당이 8·9전당대회에서 새롭게 선출되는 당 대표를 중심으로 국면 전환을 노린다. 이번에 꾸려지는 새 지도부는 기존 집단성 지도체제가 아닌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따르게 된다. 최고위 의결 없이 당직 인선을 할 수 있고 당무를 통괄하게 돼 당 대표의 권한은 이전보다 막강해진다.

하지만 새 지도부는 내년 12월 대선 경선을 관리하는 지도부로 당의 ‘보스’가 아닌 대선 후보를 지원하는 ‘서포터’ 역할을 맡게 된다. 당헌·당규상 당 대표 권한은 이전보다 커졌지만 내년 선출될 새누리당 대선 후보와의 관계에 따라 당 대표의 힘도 좌지우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새누리당은 9일 제4차 전당대회를 통해 당 대표와 5명의 최고위원을 뽑는다. ‘제왕적 총재’의 폐단을 막고자 2004년 폐지했다 이번에 부활시킨 단일성 지도체제로 바뀌는 첫 지도부다. 이전 집단지도체제에서는 9명의 최고위원이 자신의 지분을 행사하다 보니 의사결정 속도가 더디고 계파 이해관계에 따라 지도부가 휘둘리며 ‘봉숭아학당’이라는 비아냥을 들었다. 당은 이 같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당이 당 대표를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다시 도입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이번에 뽑힐 새 당 대표 권한의 강도는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누구냐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당 대선 후보가 선출되면 당 권력은 대선 후보로 급격히 쏠리기 때문이다. 당 대표의 말 한마디보다 대선 후보 말 한마디의 파급력이 훨씬 강하다.

당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 오세훈 전 시장, 남경필·원희룡 지사가 이번 전대에 직·간접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한 이유이기도 하다. 당 대표가 대선 후보 경선과 선거 관리를 총괄하는 만큼 당권을 누가 쥐느냐에 따라 잠룡들의 셈법도 달라진다. 김무성 전 대표는 전대 전부터 ‘비박계 당 대표’ 필요성과 비주류 후보에 대한 지지를 호소했다. 오세훈 전 시장은 전대를 하루 앞둔 지난 7일 비박계 단일 후보인 주호영 의원과 만나 지원을 약속했다. 비박 주자가 당권을 잡을 경우 대권 가도에 탄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친박계는 이들 비박계 인사들의 움직임에 강력히 반발했다. 당내 최대 계파지만 당권이 비박계로 넘어갈 경우 친박 정권 재창출 계획에 차질이 생길 것을 우려해서다.

당 대표와 대선 후보의 계파가 같을 경우 양쪽 모두 ‘윈윈’할 수 있지만 계파가 다를 경우 서로 대립각을 세워 당내 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당 권력도 양 계파로 분산돼 당 대표의 입지도 좁아져 무늬만 당 대표인 신세로 전락할 수 있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