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독립유공자 후손 38명 한국국적 받는다

법무부, 광복절 맞아 국적증서 수여식

항일의병장 허위 선생및 헤이그특사 이위종 선생 후손 등

법무부는 제71주년 광복절을 맞아 조국을 위해 헌신한 독립유공자 후손들에게 10일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한다.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리는 국적증서 수여식에서 항일의병장 허위 선생의 후손 8명, 헤이그 특사 이위종 선생의 후손 2명,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후손 8명 등 총 38명이 국적증서를 받는다. 허위 선생은 1907년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자 의병대를 일으켜 경기도 일대에서 항일 무장 독립운동을 이끈 인물이다. 13도 연합 의병부대를 결성한 뒤 군사장을 맡아 ‘서울진공작전’을 감행했다. 그러나 일본군에 패했고 1908년 체포돼 그해 9월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했다.


헤이그 특사 중 한 명인 이위종 선생은 1907년 세계평화회의에 제출할 장서를 번역했다.

관련기사



각국 신문 기자단의 국제협회에 참석해 을사늑약의 강제성과 일본의 침략상을 규탄하는 ‘한국을 위한 호소’란 강연을 하는 등 구국운동에 생애를 바쳤다. 최재형 선생은 러일전쟁 이후 일제의 한국 식민화 정책이 본격화되자 1908년 이범윤ㆍ이위종ㆍ안중근 선생 등과 함께 동의회를 조직해 의병부대의 무장투쟁을 지원했다.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초대 재무총장을 역임한 그는 1919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 본부를 둔 독립단을 조직해 무장 독립투쟁을 벌이다가 일본군에 체포돼 순국했다. 1919년 간도에서 철혈광복단을 조직하고, 일제 현금 수송차를 습격해 빼앗은 현금으로 무기를 사 북로군정서에 제공한 최이붕 선생, 1906년 안창호 선생 등이 조직한 공립협회에 가입한 후 수십 차례에 걸쳐 독립운동 자금을 후원한 임정구 선생의 후손 등도 한국 국적을 얻는다.

법무부는 2006년부터 매년 독립유공자의 후손을 찾아 특별귀화 허가를 통해 총 970명의 독립유공자 후손에게 대한민국 국적을 부여했다. 김현웅 법무부 장관은 “우리가 누리는 자유, 평화, 번영은 애국지사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 덕분”이라며 “이를 이어받아 철저한 안보의식과 올바른 역사인식을 세우고 대한민국 발전에 기여해달라”고 말했다.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