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국회예산정책처, “한전, 판매단가 인상으로 이익 계속 증가”

“현재 전기요금 유지하면 전력공기업 이익 계속 증가”

국제유가 하락으로 독점사업자인 한국전력의 전력구매단가는 계속 내려가고 있지만 판매가격은 인상되면서 이익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15 회계연도 공공기관 결산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 4조4,300억원의 영업이익(개별재무제표)을, 자회사인 수력원자력은 3조7,900억원(연결재무제표)의 영업이익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원인은 국제유가 하락에 있다. 한전의 전력구매단가는 2014년 킬로와트시(kWh)당 93.7원에서 지난해 85.9원으로 떨어졌다.

반면 전기요금이 지속적으로 인상되면서 판매단가와 구매단가의 차이는 2012년 kWh당 5.3원에서 지난해 25.6원으로 5배 가량 확대됐다.

특히 발전자회사가 주로 공급하는 원자력과 유연탄(석탄) 발전에 대한 정산단가가 인상되면서 자회사들의 이익이 급증하고 있다.

정산단가는 전력거래시장에서 결정되는 전기 1kWh를 생산하는데 소용되는 비용, 즉 전력생산비용인 계통한계가격(SMP)에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정산조정계수를 적용해 결정된다.

원자력과 석탄 등 기저발전은 전력생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SMP에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는 정산조정계수를 적용한다.


이들 기저발전의 초과이윤을 막아 전기료 인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2008년 5월 한전과 자회사 간 전력거래에 도입됐다.

관련기사



원자력과 석탄발전에 대한 정산조정계수가 올라가면 한전이 이들 발전자회사에 지급하는 비용이 늘어 한전의 이익은 줄지만 발전자회사의 이익은 증가한다. 반면 정산조정계수가 내려가면 한전 이익은 늘지만 발전자회사는 감소한다. 그러나 한전과 자회사 전체 이익에는 큰 변동이 없어 ‘조삼모사’와 같다.

실제 별도 재무제표 기준 한전의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2조1,751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2.7% 늘어났다. 그러나 자회사 영업이익을 포함한 연결 재무제표 기준 상반기 영업이익은 6조3천98억원으로 무려 45.8% 급증했다.

특히 한전의 1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3조6,000억원) 중에서 자회사들인 원전과 화력부문의 비중이 78%인 3조3,700억원에 달했다.

문제는 이런 정산조정계수 결정 과정이 베일에 휩싸여 있다는 점이다. 한전은 물론 전력거래소와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에서도 정산조정계수 결정 과정을 비공개로 하고 있다.

이렇다 보니 원자력발전의 경우 kWh당 40원 수준이던 정산단가가 지난해 62.69원까지 상승했고 유연탄은 70원을 돌파했지만 뚜렷한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반면 민간사업자가 대부분인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정산단가는 2012년 168.11원에서 지난해 126.34원으로, 오히려 큰 폭 하락했다. 이로 인해 LNG 발전사들은 경영난으로 인해 발전소 가동을 중지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예산정책처는 “정산조정계수가 발전원가를 고려하지 않은 채 한전과 발전자회사가 과도하게 발생한 순이익을 배분하는 장치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현재의 전기요금이 유지되면 전력공기업의 수익은 지속 증가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