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서울경제TV] 경기권 공급과잉 우려지역은… 화성·김포·시흥·평택

세대수 대비 16~18년 입주물량 조사

수도권 외곽, 역전세난 발생 가능성

2016~2018년 경기도 공급과잉 우려지역. / 자료=닥터아파트2016~2018년 경기도 공급과잉 우려지역. / 자료=닥터아파트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는 내년 이후 경기권에서 공급과잉 우려가 큰 지역으로 화성, 김포, 시흥, 평택 등을 꼽았다.


10일 부동산 포털 닥터아파트가 2016~2018년 경기권 입주물량을 시군별로 아파트 입주물량과 주민등록 세대수를 통해 비교 분석한 결과다.

닥터아파트는 주택 수요 기초데이터를 시군별 주민등록 세대수(2016년 7월 현재)를 기준으로 했다. 또 공급물량 데이터로는 2016~2018년 연평균 아파트 입주물량을 기준으로 했다. 시군별 연평균 아파트 입주물량을 주민등록 세대수로 나눠 100을 곱해 입주량(%)을 계산했다.

조사 결과 주민등록 세대수 대비 입주물량 비중을 나타내는 입주량은 경기도 전체 평균이 2.1%로 조사됐다. 100세대 당 연간 입주물량이 2.1가구라는 의미다.


시군별로 보면 2016년에 입주물량이 많은 미사강변도시가 포함된 하남이 9.8%로 입주량이 가장 많있다. 다만 미사강변도시는 강동구와 인접해 송파구 강동구 등에서 외부수요가 유입돼 입주물량을 소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2위는 동탄2신도시 입주물량이 쏟아지고 있는 화성(6.9%)이 차지했다. 또 한강신도시 입주물량이 많은 김포(5.2%)가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2017~2018년 목감지구 은계지구 배곧신도시에서 입주물량이 많은 시흥시(4.5%)가 차지했다. 이어 광주(4.0%) 평택(3.7%), 안성(3.6%) 오산(2.9%) 구리(2.8%) 용인(2.6%)이 경기 평균 입주량을 웃돌았다.

이들 지역중 서울 출퇴근이 쉽지 않은 화성 평택 김포 시흥 안성 오산 등은 외부수요가 적고 내부수요가 많지 않아 공급과잉 후유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 내년 이후 국지적으로 역전세난도 우려된다.

특히 화성(9,274→2만7,753), 김포(2,954→8,680), 시흥(1,818→1만242), 용인(1,881→1만9,801)은 입주물량이 2016년에 비해 2018년에 급증하는 지역으로 입주물량 누적에 따른 공급과잉이 우려된다.

닥터아파트 관계자는 “2016~2018년 입주물량과 주민등록 세대수를 기초로 한 단순분석이지만 수도권 외곽의 경우 대부분 2016년보다 2017년이, 2017년보다는 2018년에 입주물량이 급증해 공급과잉은 물론 역전세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정창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