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과학기술전략회의] '스마트시티'땐 전기·수도료 20%↓·교통정체15%↓

2021년까지 3,300억 투자

건물별 전력사용 광역별 관리

스마트시티 기술 본격 수출도



# 건물별로 관리되던 전기사용량이 주변 시설물로 확대돼 광역별로 관리된다. 가령 낮 시간대 전기사용량이 비교적 적은 주택가 대신 인근 상가에 전기를 더 많이 공급하는 방식이다. 또 물·전기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함께 확인해 물을 더 많이 사용하는 시간에는 전기를 필요로 하는 정수시설에 전기공급을 늘린다. 교통사고·범죄·응급의료가 발생한 경우 신호등·교통흐름 등이 자동조정된다.

10일 정부의 제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발표된 ‘한국형 스마트시티’의 청사진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회의에서 스마트시티를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하고 오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총 3,3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실증사업에 참여할 도시를 공모해 2019~2020년 총 3개의 실증도시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2021년부터는 한국형 ‘스마트시티’ 기술을 본격적으로 해외로 수출하겠다는 방침도 발표됐다.


스마트시티란 지역 내 각종 서비스가 정보통신기술(ICT) 등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돼 교통·전력·치안 등이 효율적으로 해결되는 도시를 뜻한다. 해당 사업은 국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미래창조과학부가 협력해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스마트시티를 통해 시민의 전기·수도요금 부담을 20% 줄여주고 교통정체를 15%가량 완화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날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스마트시티 구축사업은 IBM·시스코 등 세계적 기업 등을 통해 해외에서 먼저 추진돼왔다. 그중 시스코가 독일 함부르크, 스페인 바르셀로나, 미국 샌디에이고 등에서 독보적 사업을 펼치고 있다. 해당 지역에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자동으로 켜지고 꺼지는 스마트가로등, 대중교통 실시간 운행 및 사고 발생 관련 정보를 관리자에게 바로 보내 교통흐름을 최적의 상태로 조정하도록 돕는 지능형 솔루션을 적용하는 사업이 추진돼왔다.

정부는 스마트시티 구축기술을 활용해 해외 도시개발사업의 국내 기업 수주를 대폭 확대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유관부처들이 모두 참여하는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총괄조정위원회’를 구성해 사업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해외건설사업 수주액(2015년 현재 461억달러) 중 도시개발 분야 사업 수주 비중은 약 10% 정도에 불과한데 스마트시티 기술 수출을 병행하면 그 비중이 2025년 30%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스마트시티 구축사업 주요 내용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사진제공=국토교통부스마트시티 구축사업 주요 내용을 보여주는 인포그래픽. /사진제공=국토교통부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