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과학기술전략회의] 11만명 유전정보 빅데이터 구축...'정밀의료' 서비스

연내 관련 특별법 제정 추진

한국인 3대 암 정보도 확보

2025년 기대수명 3년 연장

10.3조 부가가치 창출 기대



A씨는 폐암 진단을 받은 후 항암치료를 받았으나 암세포가 뇌까지 전이되는 등 상태가 악화했다.

하지만 유전자검사를 통해 폐암의 원인이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유전자 변이임을 발견하고 표적치료제인 이레사를 쓰자 단기간에 호전됐다.

보건복지부가 이런 맞춤형 항암 진단·치료법 개발을 위해 올해부터 오는 2021년까지 한국인 3대 암(폐·위·대장) 환자 총 1만명의 유전체 정보 확보에 나선다. 복지부는 이와 별도로 모두 10만명의 유전체, 진료, 생활환경·습관 정보를 담은 빅데이터를 구축, ‘정밀의료’의 구현 대상을 암에서 모든 질환으로 확대해나간다는 목표다.


복지부는 10일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린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정밀의료가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가운데 하나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정밀의료는 유전체, 진료, 생활환경·습관 정보 등을 통합분석해 환자 특성에 따라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기사



복지부는 정밀의료 구현을 위해 2021년까지 총 10만명의 유전체·진료에서부터 수면시간·운동량 등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정보를 수집·축적해 이를 제약기업·병원 등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또 3대 암에 대해서는 보다 공격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별도로 1만명의 정보를 모아 맞춤형 항암 진단·치료법 개발에 나설 방침이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연내 ‘정밀의료지원센터’를 설치하고 ‘정밀의료발전특별법’ 제정을 추진한다. 이렇게 개발된 정밀의료 기술을 활용하면 3대 암의 5년 생존율은 2025년 기준으로 지금보다 6%포인트 증가해 14.4%가 될 것으로 복지부는 기대하고 있다. 또 우리나라 건강수명 역시 2025년에는 76세로 지금보다 3년 연장될 것으로 전망했다. 게다가 2025년 147조원 규모로 커질 세계 정밀의료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술이 약 7%를 점유, 10조3,000억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12만명 정도의 고용을 유발할 것으로 예측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