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사드 요격률은 100%...美 MD 편입 안될 것"

시링 美 미사일방어청장

13차례 실험 모두 성공

중거리 요격 내년 검증

사드 한반도서만 사용

中 겨냥하는 일은 없어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전략을 총괄하는 국방부 산하 미사일방어청(MDA)의 제임스 시링 청장(해군중장)이 11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합동참모본부에서 사드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미국의 미사일방어(MD) 전략을 총괄하는 국방부 산하 미사일방어청(MDA)의 제임스 시링 청장(해군중장)이 11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합동참모본부에서 사드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요격률은 100%이며 미국 미사일방어(MD)체계에 편입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미국의 MD 전략을 총괄하는 미 국방부 미사일방어청(MDA)의 제임스 시링 청장(해군 중장)은 11일 서울 용산 합동참모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드는 13차례에 걸친 요격시험에서 모두 성공적으로 표적을 요격했다”며 “성공률이 100%로 미 의회에도 보고된 내용”이라고 밝혔다.


시링 청장은 미군이 수행한 사드 요격시험 가운데 6차례는 사거리 3,000㎞ 미만의 단거리·준중거리 미사일 요격시험이고 나머지는 장거리 미사일 요격시험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사거리 3,000∼5,500㎞의 미사일을 중거리 미사일로 분류하고 “내년에는 사드의 중거리 미사일 요격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북한 스커드(사거리 300∼1,000㎞)와 노동(1,300㎞) 미사일에 대한 사드의 요격능력은 입증됐고 무수단(3,500∼4,000㎞) 미사일 요격능력은 내년부터 검증 단계에 들어가는 셈이다.

시링 청장은 “지난 10년에 걸쳐 사드의 요격시험을 하는 동안 시뮬레이션 시험도 했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위협에 대한 사드의 요격능력을 확신하고 있다”며 “사드는 저고도에서 고고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궤도로 비행하는 탄도미사일을 방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시링 청장은 한반도에 배치될 사드가 미국의 거대한 MD체계에 편입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진화에 나섰다. 그는 “사드는 순수하게 한미동맹의 사안으로, 특히 정보공유 측면에서 그렇다”며 “미군이 운용하는 범세계적인 MD체계에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반도에 배치될 사드가 미군의 지휘통제·전투관리통신(C2BMC)에 연동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며 “C2BMC에 연동된 레이더는 미 본토와 다른 지역 방어에 이용되며 한반도에 배치되는 사드는 자체적으로 한반도에서만 사용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이 사드 도입을 검토 중이라는 언론 보도에 관해서는 즉답을 피하고 “일본은 TPY-2 레이더 배치에 매우 협조적이었다”며 “일본은 아시아 지역의 매우 중요한 동맹국”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시링 청장은 한반도에 배치될 사드 레이더가 적 미사일을 발사 단계에서 탐지하는 전방배치모드(FBM)가 아닌 종말모드(TM)로만 운용될 것이라며 중국 미사일 기지 탐지에 쓰일 수 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시링 청장은 사드 레이더를 TM에서 FBM으로 전환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순수하게 물리적인(material) 측면에서 단기간에 전환하는 게 가능하다”면서도 “한반도에 배치될 사드가 중국을 겨냥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에 관한 질문에는 FBM의 경우 1,000㎞라고 답했지만 TM의 탐지거리에 관해서는 “FBM보다 짧다”며 구체적인 수치는 공개하지 않았다. 시링 청장은 사드 레이더의 전자파 유해성 논란에 대해서는 “다른 지역에서 운용 중인 사드 레이더의 경우 지난 10여년 동안 인근 지역 주민의 안전 문제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사드는 주변 환경, 공기, 토양, 동식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2012년 MDA 청장에 취임한 시링 청장은 사드와 관련해서는 주로 물자관리 업무를 맡고 있다. 그는 이번 한국 방문 기간에 빈센트 브룩스 사령관을 비롯한 주한미군 수뇌부와 우리 합동참모본부 주요 인사를 만나 사드 배치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공동취재단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