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도로위 10대 중 3대 '10년 이상 노후차'

車산업協 국내 등록차량 집계

"교체 지원 정책 서둘러야"

국내 도로를 달리는 차량 10대 중 3대가 10년 이상 된 노후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노후화에 따른 각종 사고 노출 가능성과 배출가스 과다배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교체 지원정책 시행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까지 국내에 등록된 10년 이상 된 노후차량 수는 총 703만2,922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2,146만4,224대)의 32.8%에 해당하는 수치로 도로 위 차량 10대 중 3대가 10년 넘은 차량인 셈이다. 노후차량 대수는 지난 4월 701만대를 기록한 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연식별로는 10~14년 차량이 468만894대(66.5%), 15년 이상이 235만2,028대(33.5%)였다.

노후차는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국내 도로 사정이 개선되고 차량 내구성이 양호해지면서 차를 오래 타는 사람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10년 전인 2006년만 해도 차량 총 등록대수 1,590만대 중 노후차는 402만대(25.3%)에 불과했다. 지난 10년 동안 차량 총등록대수(1,590만대→2,146만대)는 35% 늘었지만 10년 이상 된 노후차(402만대→703만대)는 75%나 증가했다. 차량 전체 등록대수보다 노후차 증가 속도가 두 배 정도 더 빨랐다.


특히 고속도로 운행이 많은 대형 노후 트럭은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또 노후차는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히기도 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수도권 미세먼지 발생 원인의 30%는 경유차이며 이 중 10년 이상 된 노후 경유차가 미치는 영향이 80%에 이른다. 경유차는 국내 전체 자동차 가운데 41%(862만대)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10년 이상 된 노후 경유차는 318만대에 달한다.

관련기사



정부가 이런 상황을 반영해 6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을 통해 10년 이상 된 노후 경유차를 폐차하고 새 승용차를 사면 개별소비세를 70% 감면해주기로 했지만 정책을 발표한 지 한 달여가 지나도록 국회에서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아 당초 시행 예상시기였던 오는 10월은 물론 연내에 시행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정책에 발맞춰 노후 경유차 교체 시 각종 프로모션을 내걸고 판매 확대를 위해 준비하고 있던 완성차 업체들이 정책 시행이 기약 없이 미뤄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내수 진작을 위해 내놓은 정책이 오히려 신차 판매의 발목을 잡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