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세월호특조위 “청와대 등 정부 관계자 3차 청문회 증인 대상 포함”

“참사원인부터 참사 이후 조치 등 전방위 청문 진행”

“현재 진행 중인 인양작업 문제점도 함께 다룰 것”

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가 청와대와 해양수산부 등 정부기관 관계자를 다음 달 1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제3차 청문회의 증인과 참고인으로 소환한다는 방침이다.

특조위는 17일 서울 중구 특조위 사무실에서 진행된 제29차 정례브리핑에서 “청와대와 해수부·해경·해군 등 정부기관 관련자와 언론사·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포함된 증인과 참고인 104명을 선정했다”며 “최종적으로 40~50명 정도로 추려 다음 주께 공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3차 청문회는 ▲침몰 원인 규명 ▲참사 당시 및 이후 정부 대응의 적정성 ▲참사 당시 및 이후 언론 보도의 공정성·적정성 ▲선체 인양 과정의 문제점 등 크게 4가지 주제로 진행된다. 특조위는 이번 청문회를 통해 참사 원인에서부터 구조활동의 적정성, 참사 이후 정부 대응의 문제점 등을 집중적으로 청문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세월호 인양 과정의 문제점도 심도 있게 다를 예정이다. 인양업체 상하이샐비지컨소시엄(SSC)은 지난달 말 세월호 선수(뱃머리) 아래에 리프팅빔 18개를 설치하는 작업을 마쳤고, 지난 9일부터 선미(배꼬리) 아래 리프팅빔을 설치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대해 세월호 인양을 총괄하는 해수부는 “최대한 빠르게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쏟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특조위는 “세월호 인양 작업이 주먹구구식으로 진행 중”이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관련기사



권영빈 특조위 진상규명소위원회 위원장은 “계획대로라면 리프트빔 설치에 길어야 일주일이 걸리는 데 열흘 가까이 지났지만 여전히 작업 중”이라며 “천공 작업, 플로팅 독에 세월호를 올리는 과정 등 이후 작업들을 고려하면 11월은 돼야 인양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정부는 지난 2014년 세월호 참사 구조작업 때도 11월에 접어들자 겨울바다라 위험하다며 작업을 중단했는데 이번에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특조위는 조사활동 기간 보장을 요구하며 지난달 27일 이석태 특조위 위원장을 시작으로 돌입한 릴레이 단식농성을 앞으로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특조위 관계자는 “위원장과 상임위원들에 이어 조사관들도 단식농성에 동참해 특조위 활동의 의지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