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스포츠

탁구 금메달리스트 유승민, IOC선수 위원 당선

탁구 금메달리스트 유승민, IOC선수 위원 당선탁구 금메달리스트 유승민, IOC선수 위원 당선




한국 선수로서는 두 번째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이 나왔다. 바로 탁구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유승민(34·삼성생명 코치)가 국제올림픽위원회 선수위원이다.


유승민은 19일 오전(이하 한국시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선수촌 내 프레스 룸에서 발표한 선수위원 투표 결과에서 후보자 23명 중 2위를 차지해 IOC 선수위원이 됐다. 임기는 2024년까지 8년의 임기다.

이날 유승민은 총 5천815표 중 1천544표를 획득, 1천603표를 얻은 펜싱 브리타 하이데만(독일)에 이어 2위로 출전할 수 있게됐다.

하이데만은 2012년 런던올림픽 펜싱 에페 준결승에서 신아람(30·계룡시청)에게 ‘1초 오심’의 아픔을 안겼다.

3위는 1천469를 획득한 수영 다니엘 지우르타(헝가리), 4위는 육상 장대높이뛰기 옐레나 이신바예바(러시아)가 1천365표를 획득했다.

유승민의 IOC 선수위원 당선은 한국인으로는 두 번째 당선이다. 아테네올림픽 태권도 금메달리스트 문대성이 2008년 처음 선출된 바 있다.


투표는 이번 올림픽에 참가한 전체 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난달 24일부터 17일 자정까지 진행 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선수위원 투표에는 리우올림픽에 참가한 선수 1만1천245명 중 5천185명이 참가. 선수 한 명당 4명까지 투표가 가능하다.

2000년 시드니올림픽 때 신설된 IOC 선수위원은 올림픽 참가선수들이 뽑는데, 하계종목 8명과 동계종목 4명 등 총 12명의 선수위원을 뽑는다. IOC 선수위원은 동·하계올림픽 개최지 투표 등 IOC 위원과 똑같은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유승민은 사실상 한국의 유일한 IOC 위원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IOC 위원으로 삼성 이건희 회장과 문대성이 있으나, 이 회장은 건강 악화로 IOC 활동을 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 위원은 이번 올림픽을 앞두고 직무가 정지된 바 있다. 리우올림픽이 끝나면 그의 임기도 끝이 난다.

한편 유승민은 지난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당시 탁구 단식에서 금메달을 얻었다.

[출처=KBS1 방송화면 캡처]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