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국제 유가 하락·전기요금 누진제 완화에… 생산자물가 4개월만에 내림세

한은, 7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대비 0.1% 하락

<생산자물가지수> ※자료:한국은행<생산자물가지수> ※자료:한국은행




국제유가 하락과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 한시 완화 등의 영향으로 생산자물가지수가 4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다.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서비스의 가격으로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16년 7월 생산자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2010년=100) 잠정치는 98.95로 전월(99.02) 대비 0.1% 내렸다. 생산자물가는 지난 하반기부터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계속 떨어지다가 올해 4월 11개월 만에 오른 뒤 세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었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유가 하락과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을 넓힌 게 생산자물가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보면 공산품이 전월 대비 0.1% 내렸다. 석탄 및 석유제품이 2.6% 하락했고, 전기 및 전자기기(-0.6%) 제품의 생산자 물가도 떨어졌다. 화학제품과 음식료품도 각각 0.1% 씩 내렸다.

관련기사



전력·가스·수도 등 공공요금도 전월 대비 2.0% 하락했다. 정부·여당은 지난 11일 당정협의를 통해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을 50㎾씩 높이는 한시적인 방안을 내놨다. 이 방안이 7월분부터 소급적용되면서 생산자물가가 하락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농림수산품은 농산물(4.2%) 가격의 상승에 힘입어 전월 대비 0.6% 올랐다.

서비스업은 0.1% 오름세를 보였다. 음식점·숙박업이 0.3% 상승했고, 운수와 금융·보험이 각각 0.2%씩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사업서비스 가격도 0.1% 올랐다.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가공 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잠정치)는 93.68로 6월보다 0.4% 하락했다. 원재료와 중간재가 0.3%, 최종재는 0.5% 각각 내렸다. 지난달 수출품까지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는 94.23으로 6월보다 0.6% 낮게 나타났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