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록적인 폭염에 쓸쓸히 죽어가는 홀몸 노인들



기록적인 폭염 속에 혼자 사는 노인들이 쓸쓸한 죽음을 맞는 일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런 사건이 늘어나는 이유는 몸이 불편한데 돌봐주는 사람이 없거나 열악한 환경에 살다 무더위에 지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8일 오전 7시 50분 충북 영동군 용산면의 사과밭에서 혼자 살던 A(78)씨가 경운기에 깔려 숨진 것을 아들(48)이 발견했다. A씨는 자녀들을 출가시킨 뒤 혼자 산골에 남아 농사를 지어온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장소는 외진 곳이어서 평소 주민 왕래가 거의 없었다. 아들은 경찰에서 “사흘째 아버지가 보이지 않는다는 친척의 전화를 받고 집 주변을 살펴보던 중 사고 현장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경찰은 “경운기에 후진 기어가 넣어져 있고, 적재함에 풀 등이 실린 점으로 미뤄 제초작업을 하던 A씨가 경운기를 뒤로 빼다가 중심을 잃고 넘어져 바퀴에 깔린 것 같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지난 12일 부산 중구 신창동에서도 혼자 살던 B(79)씨가 숨진 상태로 요양보호사에게 발견됐다. 고혈압 등으로 거동이 불편했던 B씨는 35도 가까운 폭염 속에 찜통이나 다름없는 방바닥에 누워 숨져 있었다. 방안에는 꺼져 있는 선풍기 하나만 덩그러니 놓여있었다. 검안 의사는 사망 원인을 폭염으로 인한 급성 심근경색으로 추정했다.

이웃과 단절된 홀몸 노인 증가로 변을 당한 뒤 곧바로 발견되지 않는 일도 흔하다. 지난 11일에는 부산 영동구 청학동의 단칸방에 세 들어 살던 C(59)씨가 숨져 있는 것을 집주인이 발견했다. 집주인은 경찰에서 “김씨가 월세를 내지 않고 문도 잠겨 있어 119를 불러 문을 열었다가 현장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검안 의사는 시신 부패 상태 등을 토대로 C씨가 숨진 지 한 달 정도 지난 것으로 추정했다. C씨는 가족과 떨어져 별다른 직업 없이 외롭게 지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6월 23일 강원도 횡성에서는 숨진 아내의 시신 옆에서 거동 못 하는 남편이 아사 직전에 발견되는 안타까운 일도 있었다. 경찰은 “부모님이 전화를 받지 않는다”는 아들의 전화를 받고 현장을 확인했다. 경찰은 “방충망을 뜯고 집에 들어가 보니 할머니(76)는 방바닥에 누운 채 숨져 있고, 그 옆에 기력 잃은 할아버지(77)가 겨우 눈만 뜨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혼자 사는 노인이 증가하면서 세상과 단절된 상태에서 쓸쓸한 최후를 맞는 노인은 더욱 늘어나는 이유가 65세 이상 노인 인구와 ‘나 홀로 사는’ 1인 가구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한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방문 보호 사업 등 안전망이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목원대 사회복지학과 권중돈 교수는 “1인 가구 증가와 더불어 가족이나 이웃 간 연결 고리가 약화되면서 사회로부터 단절되는 노인이 늘고 있다”며 “지자체가 홀로 사는 노인을 자주 찾아 말벗이 돼 주는 등 사회적 차원의 시스템이 확고하게 구축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