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자린고비 가계...허리띠 더 졸라맸다

노후생활 대비, 원리금 상환 등 부담에

2분기 소비성향 70.9% 그쳐 2003년 이후 최저

가구 월평균 431만원 벌어 249만원 소비

담배 지출 11% 증가...빈부격차만 악화



가계의 씀씀이 정도를 보여주는 평균소비성향이 역대 최저로 떨어졌다. 소득은 늘지 않는데 고령화로 미래가 불안해 허리띠를 졸라맸다. 막대한 가계부채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도 가계의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4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평균소비성향은 70.9%(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로 지난해 2·4분기의 71.6%에 비해 0.7%포인트 감소했다. 비교 가능한 2003년 이후 가장 낮았다. 2000년대 중반 80% 내외를 유지했던 소비성향은 계속 떨어져 70%마저 위태롭다. 소비성향은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소비액 비중이다. 수치가 낮을수록 돈을 쓰지 않는다는 뜻이다. 실제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액을 뺀 가계의 흑자액은 102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6% 불어났다.

지난 분기 가계의 소득은 ‘찔끔’ 증가했다. 월평균 430만6,000원을 벌어 지난해보다 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소득 증가율은 2014년 1·4분기부터 지난해 2·4분기까지 2~5%로 비교적 높았지만 지난해 3·4분기 0.7%로 뚝 떨어진 뒤 1년 연속 0%대를 맴돌고 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 증감률은 제자리(0%)였다.


지출은 줄었다. 월평균 지출액은 249만4,000원으로 지난해와 같았지만 실질로는 0.9%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의류 및 신발 지출이 16만5,000원으로 2.5% 감소했다. 경기가 악화하면서 교육비마저 23만원으로 0.7% 감소했다. 다만 주류·담배에는 지갑을 열었다. 월평균 3만5,000원을 지출해 지난해보다 7.1% 증가했다. 특히 담배가 10.9% 뛰었는데 지난해 초 담뱃세 인상으로 소비량이 줄었다가 올해 2·4분기 들어 담배 소비가 증가한 영향이다. 또 월세가구 비중이 늘어나며 실제 주거비는 7만8,000원으로 6% 증가했다.

관련기사



빈부격차는 악화됐다. 소득 최하위인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9만6,000원으로 지난해보다 6% 감소한 반면 상위 20%인 5분위는 821만3,000원을 벌어 1.7% 증가했다. 5분위 소득을 1분위로 나눈 소득 5분위 배율도 4.51을 기록해 지난해 2·4분기(4.19)보다 상승했다.

각종 세금·연금·사회보험료가 포함된 비소비지출은 월평균 78만8,000원으로 지난해보다 0.1% 증가했다.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 경조사비 등이 포함된 가구 간 이전지출이 3.7% 줄었고 종교기부금 등 비영리단체로의 이전지출도 3.1% 감소했다. 반면 사회보험 가입자 증가, 보험료 인상 등으로 사회보험·연금 지출은 각각 4.7% 증가했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