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대통령직속기관 정보 유출 위중해” VS 野 “감찰 내용 유출 의혹은 본질 흐리기”

이석수 특별감찰관 감찰 내용 누출 의혹을 향한 청와대 비난에 여야 정치권 일제히 반응

우병우(왼쪽) 청와대 민정수석과 이석수(오른쪽)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우병우(왼쪽) 청와대 민정수석과 이석수(오른쪽)대통령 직속 특별감찰관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청와대가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감찰 내용과 검찰 의뢰 사실이 언론에 공개된 것에 대해 ‘중대한 위법행위’라고 공개 비판한 사안에 따른 후폭풍이 20일 여야 정치권을 흔들었다. 여당이 “이 감찰관의 행위도 진실 규명의 대상”이라며 청와대의 편을 든 반면 야당은 청와대가 ‘특별감찰관의 법과 제도를 부정하는 초법적 발상을 한다’며 맹공을 퍼부었다.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감찰에 대해 청와대와 여야 정치권이 날 선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석수 특별감찰관이 우 수석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한 사안이 언론에 유출된 것에 대해 청와대가 ‘중대한 위법행위’라고 지적하고 나서자 20일 여야 모두 논평을 내며 날을 세웠다.


새누리당은 20일 우 수석에 대한 감찰 내용 유출과 관련해 “검찰에 대해 성역없는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면서 이를 지켜보는 게 이번 사태에 임하는 정치권의 바른 태도”라고 원칙론을 유지했다. 김명연 원내대변인은 감찰 내용의 언론 유출에 대해서도 “사실이라면 중대한 위법 행위이자 국기 문란에 해당하는 행위”라며 “이 감찰관의 특별감찰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도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청와대의 편에 섰다. 김현아 대변인 또한 구두 논평을 통해 “진실 규명이 우선이며 이 감찰관의 감찰 내용 유출도 그 대상”이라며 “대통령 직속 기관에서 그런 행태를 보인 데 대해 여당으로서 크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말했다.

관련기사



반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청와대의 반응이 “본말전도이자 자충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두 야당은 청와대의 공격이 우 수석을 향한 검찰 수사의 본질을 흐리기 위한 것이라며 공정한 수사를 위해 지금이라도 우 수석이 물러날 것을 촉구했다.

기동민 더민주 원내대변인은 “청와대가 정국 주도권을 회복했을 때 우 수석도 내보낼 수 있다는 계산인 듯 한데, 이런 대응이 오히려 현 정부의 레임덕을 재촉하는 행위일 수 있다”고 비판했다. 강선우 부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읍참석수’로는 우 수석을 구할 수도, 대통령을 지킬 수도 없다”며 “청와대는 검찰이 우 수석에 대한 조사를 성역없이 할 수 있도록 우 수석을 민정수석 자리에서 놔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 또한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청와대릐 편리한 판단과 고집이 더 큰 국기문란”이라며 날을 세웠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