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제철 '美中 통상 분쟁 유탄 피하자'...통상전략실 신설

협회차원 TF 이어…현대제철 '통상전략실' 20명 수준으로 충원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날이 갈수록 강해지는 가운데 최근 고율의 반덤핑·상계관세율을 부과 받은 철강업계가 조직적인 대응 마련에 착수했다. 철강협회가 주축이 되고 정부 기관이 참여하는 통상 이슈 대응 태스크포스(TF)가 최근 구성된 데 이어 현대제철이 자체적인 통상 대응 조직을 확대 개편했다.

2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최근 통상기획·통상전략 2개팀으로 운영하던 통상대응 조직을 ‘통상전략실’로 확대 개편했다. 통상전략실 아래는 통상1·2·3팀을 뒀다. 인력도 4~5명가량을 충원해 20여명 수준으로 꾸렸다.

열연·냉연강판 등 주요 철강재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통상 분쟁이 확대되면서 국내 업체들이 ‘유탄’을 맞자 보다 조직적인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에 이어 중국도 비관세 장벽까지 총동원하는 방식으로 통상 분쟁에 뛰어들자 개별 업체도 대응 수위를 높이는 것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최근 미국이 한국산 철강제품에 대해 고율의 반덤핑 관세를 매기는 등 통상 이슈가 불거지는 데 대해 대응하자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상무부는 최근 한국산 냉연강판에 대한 최종 판정에서 현대제철 34.33%·포스코 6.32%의 반덤핑 관세율을 부과했다. 정부 지원을 받았다고 판단될 경우 부과되는 상계관세율도 현대제철과 포스코가 각각 3.91%와 58.36% 부과됐다. 미국 정부는 이달 초에도 한국산 열연강판에 대해 최대 61%에 달하는 반덤핑·상계관세율을 적용하라고 결정하기도 했다. 철강업계는 당장 미국으로 향하는 철강제품 수출길이 막혔다고 보고 수출국 다변화 등의 대응 마련에 분주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선박 건조용으로 쓰이는 철강 후판에 대해서도 미국은 지난 4월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고 인동(구리모합금)과 페로바나듐에 대해서도 조사를 벌이고 있어 국내 업체들의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이미 반덤핑 관세율 결정이 난 철강재에 대한 미국 정부의 판결문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있다”면서 “미국 내 무역법원에 제소하는 방안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하는 방안까지 다양한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철강업계는 최근 국제 통상 전문가와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 부처 산하 연구 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TF를 구성해 최근 불거지고 있는 통상 이슈에 대응하고 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