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복지부, 'C형간염 집단 감염 사태' 주사기 재사용 의심 54곳 전수조사 중

C형간염 집단 감염 사건이 발생한 ‘서울현대의원’. 현재는 ‘제이에스(JS)의원’으로 명칭이 바뀌어 운영되고 있다./연합뉴스C형간염 집단 감염 사건이 발생한 ‘서울현대의원’. 현재는 ‘제이에스(JS)의원’으로 명칭이 바뀌어 운영되고 있다./연합뉴스


C형간염 집단감염 사태가 또 다시 발생하면서 국민들이 불안을 떨고 있는 가운데, 보건복지부는 주사기 재사용 의심기관으로 신고된 54곳에 대해 추가 수사를 진행중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4월 이후 1회용 주사기 재사용 의심기관으로 신고된 54곳에 대한 전수조사를 마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을 통한 C형간염 집단 감염사태가 추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현재 복지부는 의심기관으로 신고된 54곳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작업을 진행 중이지만 아직까지 집단감염 기관으로 결정된 곳은 없다.


하지만 54곳 기관 외 여전히 주사기 재사용 신고가 접수되고 있고, 이들 기관에 대한 분석 작업이 계속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또 다른 집단감염 발생 사태를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이와 관련 복지부 관계자는 “1회용 주사기 재사용 의심기관 조사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추가 감염 사태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거쳐 의심기관을 선별하더라도 정작 핵심이 되는 집단감염과 주사기 재사용의 인과관계 입증이 쉽지 않아 난항이 예상된다.

접수된 신고를 토대로 조사에 착수하더라도 과거 사례인 만큼 1회용 주사기 재사용의 명확한 근거나 증거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올해 초 C형간염 집단감염이 의심돼 동작구 보건소, 질병관리본부, 건보공단, 심평원 직원이 서울현대의원을 방문 조사했지만 주사제 혼합액을 여러 환자에게 나눠서 쓴 사실 정도만 발견했다”며 “일회용 주사기와 같은 심각한 비도덕적 의료행위는 발견하지 못해 시정 명령만 내렸다”고 말했다.

그는 “행정 처분은 정확한 증거가 필요한데 역학조사가 늦어지거나 관련 증거가 불충분하면 처분을 내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미디어부

정가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