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피치 “북한 지정학적 위험 등 구조적 요인 유의해야”

유일호 부총리와 면담

유일호(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국회에서 토마스 룩마커 피치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이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유일호(왼쪽)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국회에서 토마스 룩마커 피치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이사와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한국 경제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내리면서도 구조적 요인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토마스 룩마커 피치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담당 이사는 26일 국회에서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만나 “견조하고 안정적인 경제성장, 견고한 대외·재정건전성 등이 한국경제의 장점”이라면서도 “북한 관련 지정학적 위험 등 구조적 요인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피치는 24일부터 이날까지 기재부, 한국은행과 연례협의를 진행 중이다.


이날 유 부총리는 피치의 한국 신용등급 상향도 에둘러 요청했다. 유 부총리는 “피치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마지막으로 조정한 2012년 9월에 비해 한국경제의 성장, 재정부문은 여전히 견조하고 대외부문 지표는 크게 개선됐다”고 밝혔다. 또 “한국정부는 대내외 리스크 관리와 추가경정예산편성 등을 통한 경제활력 강화, 4대부문 구조개혁과 산업개혁 등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한국은 피치로부터 AA- 등급을 받고 있다. 전망은 안정적이다. 한국은 피치 기준으로 중국(A+), 일본(A)보다 높다. 우리보다 높은 곳은 최고등급인 AAA를 받는 미국, 독일,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와 AA+인 홍콩, AA인 영국, 프랑스, 벨기에 등 9개국이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