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팔당상수원 수질보전 위해 자연보전권역 산업집단화 시급

폐수배출공장 중 소규모 사업장(95%)… 폐수배출관리 한계

경기도 내 자연보전권역에 들어선 폐수배출 공장의 95%가 개별입지 공장으로 나타나 집단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9일 경기연구원이 발표한 ‘경기 동부지역 산업입지 실태 및 관련 규제 개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자연보전권역에 입지한 전체 6,494개 공장 가운데 6,404개(99%)가 개별입지 공장으로 조사됐다.


자연보전권역의 폐수배출 공장은 473개로 이중 450개(95%)가 개별입지 공장이었다.

특히 개별입지 공장 가운데 소규모(4∼5종) 공장이 432개(96%)였다. 4종은 하루 폐수배출량 50톤 이상~200톤 미만, 5종은 50톤 미만이다.


지역별로는 이천시 113개, 여주시 101개, 광주시 96개, 용인시 80개 등의 순이었다.

관련기사



경기연구원이 팔당상수원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 동부지역 7개 시·군의 폐수배출 공장 281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1%가 20년 이상 노후시설을 가동 중이었다.

소규모(4∼5종) 공장의 경우 노후시설을 가동하는 곳이 29%에 달했다. 증설이 필요한 공장(가동률 85% 이상)은 25%로 대부분 소규모공장이 해당됐다.

수질관리 전문인력을 보유한 공장은 4종의 경우 45%, 5종은 9%에 그쳤다. 연간 평균 지도·점검 횟수는 5종의 경우 1회가 41%였고 0회도 16%나 됐다.

조영무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개별입지 공장의 집단화를 통해 팔당상수원의 효율적인 수질 관리가 가능하며 이를 위한 합리적인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며 “자연보전권역 내 산업입지 규제 개선은 수도권·비수도권 간 지역갈등이 아닌 수질환경과 국토 관리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원=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