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비 온다더니 쨍쨍…'오보청' 오명 벗을까

전문분석관 도입·예보관 자격제 실시…

"신뢰도 높여라" 기상청, 예보 개선대책 내놔

"보여주기식 뒷북대응" 비판도



올여름 장마철과 폭염 예보에 잇따라 실패해 신뢰도에 치명상을 입은 기상청이 ‘예보 종합 개선대책’을 내놓았다. 강수와 기온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전문분석관을 도입하고 퇴직 기상인들을 활용한 ‘예보자문관’ 제도도 운영하는 등 예보관의 전문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번 대책에 새로운 내용이 거의 없고 기존 자원 위주의 활용대책이라는 점에서 ‘보여주기식 뒷북 대응’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기상청은 29일 서울 동작구 본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현재 92% 수준인 강수 유무 예보정확도를 10년 안에 95%로 끌어올리고 장마철 강수 유무 예보정확도도 85%에서 90%까지 높이는 것을 내용으로 한 ‘기상청 예보 종합 개선 대책’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강수를 전문적으로 예보하는 단기예보 전문 분석관과 기온을 전문으로 예보하는 중기예보전문분석관으로 구성된 전문분석관제를 도입한다. 또 퇴직 기상인 가운데 예보경력이 20년 이상이고 예보능력이 탁월한 사람을 각 지역청의 예보자문관(총12~20명)으로 위촉해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4개 등급으로 구성된 예보관 자격제를 실시해 예보관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아울러 전체 예보관의 20%에 대한 상시 교육을 실시하고 우수 예보관을 대상으로 기상선진국 전문교육기관 장기파견 교육도 실시한다. 언론이나 민간사업자 등에 의뢰해 기상 예보에 대한 객관적인 외부평가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도 대책에 포함됐다.

관련기사



기상청은 이 밖에도 외국으로부터 도입한 예보 수치모델이 한국의 이상 기상 예보에 취약한 점을 감안해 오는 2019년 도입 예정인 한국형 기상 예보 수치모델의 원리를 내년 상반기부터 기존의 수치모델에 활용해 예보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기상청은 이번 대책에 10년간 300억~4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에 기상청이 내놓은 대책이 기존 자원들을 활용해서도 충분히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개선안 마련이 너무 늦은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고윤화 기상청장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기후 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이 현상이 잦아지는 상황에서 문제의식이 부족해 대비가 소홀했다”며 “150년 만의 이상 기상이 앞으로는 50년, 혹은 20년 만에도 발생할 수 있다는 마음으로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