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조선에 10조원 지원한 정부, 한진해운에는 0원"

선주協 한진해운 법정관리 반대

해운업계가 시장은 물론 국가 경제에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 올 한진해운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돌입에 대한 우려 입장을 밝혔다. 특히 조선산업에는 막대한 공적 자금을 투입하면서 해운업에는 지원에 인색한 채권단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29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마리타임코리아 해양강국포럼’에서 “한진해운 법정관리시 환적화물 감소, 운임폭등 등으로 연간 17조원 손실 발생, 부산지역 해운항만업계 2,300여명의 일자리 감소 등 피해가 적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회장은 우선 “한진해운 채권단은 ‘추가 지원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그동안 정부는 일관되게 회사의 자구노력만을 요구했을 뿐 해운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 차원의 유동성 지원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대우조선 4조2,000억원, STX 4조원, 성동조선 2조5,000억원 등 조선업계에 10조원이 넘는 유동자금을 지원한 정부가 한진해운에는 3,000억원조차도 자체적으로 해결하라고 압박만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김 부회장은 또 지금의 해운업의 위기는 정부가 초래한 측면도 있다고 주장했다. 김 부회장은 “해운업황 악화가 2008년 이후 8년째 이어지는 동안 자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등에 업은 외국 해운사들은 초대형선박을 신조하며 성장을 거듭했지만 우리 해운사들은 정부의 지원 부재 속 생존을 위해 선박·터미널 등 자산을 매각하며 경쟁력을 상실하며 위기가 심화돼왔다”고 말했다.

선주협회에 따르면 한진해운 청산시 해외 선사들 간의 치킨게임이 심화되면서 미주운임은 1,184달러에서 2,433달러로 2배, 구주운임 620달러에서 2,366달러로 4배가량 폭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피해금액은 해운업계 9조2,400억원, 무역업계 2조6,600억~7조4,500억원, 조선업계 4,400억원 등 총 17조5,6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부회장은 “채권단의 유동성 부족 지원금은 3,000억원 수준이지만 이 자금 투입을 포기하고 법정관리로 갈 경우에는 연간 17조원의 피해가 예상되고 2,300개의 일자리를 잃어버리면서 극심한 혼란이 야기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컨테이너 선복량 436만TEU 글로벌 순위 14위, 시장점유율 2.1%의 현대상선이 수출입 물량을 모두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면서 “한진해운이 사라질 경우 외국 선사에 대한 의존으로 막대한 외화 유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일범기자 squiz@sedaily.com

성행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