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인물·화제

"폭풍우속 고압전류"...노르웨이 순록 323마리 즉사

노르웨이 역사상 최악의 동물 떼죽음

26일(현지시간) 노르웨이 하르당에르비다 고원에서 순록 323마리가 번개를 맞아 한꺼번에 목숨을 잃은 사건이 발생했다./사진=TIME 트위터 캡쳐26일(현지시간) 노르웨이 하르당에르비다 고원에서 순록 323마리가 번개를 맞아 한꺼번에 목숨을 잃은 사건이 발생했다./사진=TIME 트위터 캡쳐


노르웨이 고원에서 이동 중이던 야생 순록떼 300여 마리가 벼락에 맞아 한꺼번에 죽는 사고가 일어났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노르웨이 남부 텔레마크 지방 하르당에르비다 고원에서 지난 26일(현지시간) 오후 벼락이 쏟아지면서 떼를 지어 움직이고 있던 순록 323마리가 모두 죽었다. 죽은 순록 중에는 새끼 70마리도 포함됐으며 5마리는 심각한 부상을 입은 채 발견됐다고 전했다.

노르웨이 환경청 자연조사단의 샤르탄 크눗센 대변인은 “이따금씩 벼락에 맞아 죽는 동물 한두 마리는 종종 있었지만 이런 규모로 사고가 일어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 이어 “순록이 떼를 지어 이동하는 특성이 있는데다 날씨가 나쁘면 서로 가까이 붙으려는 습성이 있어 피해가 더 커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하르당에르비다 고원은 순록 수천 마리가 계절이 바뀔 때마다 뜯어먹을 풀이 많은 동쪽의 건조한 땅과 새끼를 낳기 좋은 서쪽의 습한 땅 사이를 오가는 지역으로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이다.

관련기사



노르웨이 당국 관리들은 폭풍우로 극도로 높은 전류방출이 일어나면서 순록들이 감전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환경청은 해마다 이 지역 순록 개체 수 조절을 위해 통제된 상태로 제한된 사냥을 하는데 올해도 이를 위해 남은 개체 수를 점검하는 작업을 하려 직원을 파견했다가 죽은 순록 떼를 발견했다. 올해는 내달 말까지 1만1,000∼1만5,000 마리인 순록 중 2,000∼3,000 마리를 도태시킬 예정이었다.

노르웨이 환경당국은 이번에 죽은 순록 사체를 사슴류에 퍼지는 신경계 전염병인 만성 소모성 질병을 연구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은동인턴기자 shined0226@sedaily.com



신은동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