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12명 정부 상대 손배소 제기

“정부 한일합의는 헌재결정 위반”

지난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4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세계연대집회 및 124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 참석자들이 평화의 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4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세계연대집회 및 124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집회’ 참석자들이 평화의 팻말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12명이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주도하는 ‘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재단’은 위안부 피해자 12명을 원고로 한 손해배상소송을 서울중앙지법에 제기했다고 30일 밝혔다.

위안부 피해자들은 “정부가 지난해 12월28일 일본과 맺은 위안부 한일 합의가 2011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어긋나는 행위이다”며 “이로 인해 피해자들에게 정신적·물질적 손해를 끼쳤으므로 생존자당 각 1억원의 손해배상을 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지난 2011년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 정부에 손해배상 책임을 묻지 않은 것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하는 것이므로 위헌이라고 판단했다. 정부가 해야 할 노력을 기울이지 않은 부작위가 위헌이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위안부 피해자들은 “일본이 법적 책임을 전혀 인정하지 않았음에도 ‘최종적·불가역적 해결’ 등 표현까지 써가며 지난해 말 일본과 합의한 것이 헌재가 지적한 위헌적인 부작위의 영속화를 선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소송에 참여한 원고는 강일출·길원옥·김군자·김복동·김복득·박옥선·안점순·이순덕·이옥선(1)·이옥선(2)·이용수·하수임 할머니 등이다.

현재 생존해 있는 위안부 피해자가 40명이며, 소송 참여자는 전체의 30%에 달한다.

이두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