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한진해운發 물류대란] "한진해운 살리는 게 가장 돈 적게든다"

부산시 민관 비상대책회의

부산시가 한진해운(117930) 법정관리와 관련한 대책회의를 열고 한진해운을 되살릴 것을 요구했다.

5일 서병수 부산시장은 부산시 중구 한진해운 부산사옥에서 민관 합동 비상대책회의를 열었다. 회의에 참석한 업계와 학계 전문가들은 “한진해운을 살리는 것이 지금 벌어지고 있는 사태를 가장 빨리 해결하고 돈을 적게 들이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또 김영무 선주협회 상근부회장은 “한진해운 선박 98척 중 79척이 압류되거나 입항을 거부당한 상태이며 2~3일 내로 모든 선박의 운항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진해운에 운송을 맡긴 20피트 컨테이너 85만개가 선박과 전 세계 항만에 쌓여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 화물을 화주에게 전달하는 데 몇 달이 걸리는데다 비용이 10억달러가량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다. “화물 가격이 120억달러에 이르는데 화주들이 납기 지연으로 인한 배상을 채권단이나 정부에 요구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김 부회장은 “채권단이 밝힌 부족자금은 5,000억원”이라며 “이를 조달해서 한진해운 살리는 게 사태를 해결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우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해사연구본부장도 “국가가 역할을 해야 한다면 지금이 적기”라며 “한진해운이 청산되면 국민총생산에서 사라질 부가가치가 1조원에 이르는 만큼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한진해운을 재가동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인호 부산항만발전협의회 공동대표는 부산시와 항만공사, 부산 상공계가 3,000억원을 마련해 한진해운을 살리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정부의 방침이 회생 쪽으로 정해지고 조달할 자금이 배분되면 항만공사가 나설 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