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갈 곳 없는 돈, 은행에 몰려…예금 한달새 20조↑

/출처=이미지투데이/출처=이미지투데이


은행권 수신금리가 1%대까지 떨어진 초저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은행에 돈이 몰리고 있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국내 예금은행의 총예금 잔액은 1,200조9,007억원으로 사상 처음으로 1,200조원대를 돌파했다. 이는 전달 대비 무려 20조원이나 늘어난 규모다.

가계의 총예금이 573조2,695억원으로 전달 대비 3조8,042억원 늘었고, 기업이 357조8,257억원으로 한 달 새 무려 16조9,524억원이 증가했다. 은행에 돈을 맡겨도 수익이 거의 없지만, 마땅한 투자처가 없어 갈 곳을 잃은 돈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은행으로만 몰리는 것. 이처럼 저금리 기조 하에서도 가계와 기업 등의 저축이 증가하는 것은 불안정한 경제 상황 속에서 소비를 하기보다는 불확실성에 대비하자는 심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과거에도 우리나라 총 예금잔액은 경제가 불안정한 위기 상황에 더욱 크게 증가세를 보였다. 지난 2001년 경기침체 당시 예금 증가율이 전년동기 대비 12.5%로 급증했고 이듬해에도 12.5%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후 2004년엔 -1.3%의 이례적으로 감소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까지 줄곧 한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8년 예금잔액은 다시 13.8% 증가했고, 이후 2009년과 2010년에도 각각 11.3%, 16.3%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관련기사



기본적으로 가계저축이 증가하면 기업의 투자재원 마련이 용이해지고, 이는 가계소득 증가와 경제성장으로 연결돼 선순환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최근 저축률 상승이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소비를 줄이면서 생기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가계부채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급증하고 있지만, 그 돈이 소비로 연결되기 보다는 부채를 탕감하거나 금융권과 부동산 등에만 머물고 있다. 이처럼 소비가 위축되면 기업들의 투자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경기가 더욱 악화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승희인턴기자 jsh0408@sedaily.com

정승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