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노동미사일 개량형인가 스커드-ER인가

軍 “5일 발사한 北미사일은 노동…한미 같은 분석”

노동 개량형 추정…일부 전문가 “스커드-ER” 주장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김정은 동지께서 조선인민군 전략군 화성포병부대들의 탄도로켓 발사 훈련을 현지에서 지도했다”며 1면에 관련 컬러사진 9장을 게재했다. 사진은 노동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 /연합뉴스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김정은 동지께서 조선인민군 전략군 화성포병부대들의 탄도로켓 발사 훈련을 현지에서 지도했다”며 1면에 관련 컬러사진 9장을 게재했다. 사진은 노동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5일 발사한 3발의 탄도미사일의 탄종을 놓고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군은 노동미사일 개량형으로 추정한 반면 전문가들은 스커드 사거리 연장형으로 보고 있다.


북한이 관련 사진과 동영상을 공개한 뒤 논란은 더욱 불거지고 있다. 군이 노동미사일 개량형으로 보는 이유는 비행궤적. 5일 발사된 미사일 3발이 그간 북한이 발사했던 노동미사일과 같은 궤적을 그리면서 1,000㎞를 비행했다는 것이다. 군의 추정이 맞다면 탄두가 개량된 노동미사일이 식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 노동신문이 공개한 탄도미사일을 보면 탄두부가 전체적으로 원뿔 형태의 스커드 미사일과 비슷하지만 추진체와 접합 부분에서 움푹 팬 모습이 식별됐다. 이번에 공개된 미사일은 7월21일 북한이 공개한 노동미사일의 탄두 모양과도 달랐다.


미국도 같은 판단을 내리고 있다. 미국 전략사령부는 발사된 3발 중 2발은 중거리 탄도미사일(IRBM)로 추정되며 나머지 1발에 대해서는 현재 평가 중이라고 밝혔다. 합참 관계자는 “3발 모두 정상 각도로 발사된 노동미사일”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그러나 북한이 이날 공개한 영상을 보면 이동식 발사대가 탑재된 차량(TEL)의 한 면 바퀴가 4개이고 미사일의 동체 굵기가 노동미사일보다 가늘어 스커드-ER(개량형)일 가능성도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노동미사일의 동체 굵기는 1m 정도인데 이번 발사된 미사일은 0.88m로 노동보다 가늘어 보이고 길이도 노동보다 짧다”면서 “TEL의 바퀴도 4개 형태여서 스커드-ER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도 “노동은 TEL의 한 면 바퀴가 5개인데 이번에 공개된 것은 4개”라면서 “스커드-ER”이라고 말했다.

둘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양욱 한국국방안보포험 수석연구위원은 “스커드-ER는 탄두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워 핵을 운반하기 어렵지만 배치수량과 발사 차량이 많아 동시 다발적인 공격이 가능하다”며 “북한이 다양한 전략 시설에 대한 동시 공격 능력을 과시하려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양 위원은 “북한이 5일 발사한 미사일들은 스커드-ER로 보인다”며 “스커드-ER이든 노동미사일 개량형이든 북한이 대량 보유한 탄도미사일에 대해 꾸준한 개량을 실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동미사일의 사거리는 약 1,300㎞, 스커드-ER는 700~1,000㎞에 달한다. 노동미사일에는 핵탄두도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권홍우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