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늘푸른한국당 창당발기인대회...내년 1월 창당 목표

정의화(오른쪽) 전 국회의장이 6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늘푸른한국당 창당 발기인대회에서 이재오 전 새누리당 의원과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의화(오른쪽) 전 국회의장이 6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늘푸른한국당 창당 발기인대회에서 이재오 전 새누리당 의원과 이야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헌정당’을 내건 늘푸른한국당(가칭)이 6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창당발기인대회를 열고 내년 1월 공식 창당을 목표로 본격 행보에 나섰다. 이날 손학규 전 경기지사도 기존 정당 참여 없이 정계복귀를 결심한 것으로 알려져 ‘제3지대’ 연대 가능성이 주목받게 됐다.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을 맡은 이재오 전 의원은 늘푸른한국당의 첫째 과제로 개헌을 꼽았다. 이 전 의원은 “(나라가) 더 발전해야 하는데 부패가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면서 “권력형 부패를 청산하고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게 하려면 권력을 나눠야 한다”며 분권형 대통령제를 주장했다. 그는 “국민이 뽑은 대통령은 외교·통일·국방 권한과 국가원수 권한만 갖고 나라 살림은 내각에 넘겨줘 대통령과 내각이 함께 이끌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재오 전 의원은 “(현 체제에서는) 한 표라도 더 얻으려는 여당은 5년 내내 대통령 눈치만 보고 야당은 정권창출을 위해 싸울 수밖에 없어 갈등과 분열·혼잡만 계속된다”며 “정치가 안정이 안 되는데 경제가 발전하겠느냐, 사회가 안정되겠느냐”고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날 축사를 맡은 정의화 전 국회의장 역시 대표적인 개헌론자 중 하나다. 정의화 전 의장은 “제왕적 대통령제, 소선거구제가 사생결단 식의 적대 정치를 낳은 것을 (국민들이) 잘 보고 있다”며 “정치가 바뀌지 않고는 우리나라 미래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 임기 동안 분권형 대통령제 개혁을 꼭 이뤄내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사람이 (당선)되기를 개인적으로 바란다”면서 “대통령과 국회의원 선거를 같이 하기 위해 다음 대통령 임기를 2년3개월로 단축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이재오 전 의원은 창당발기인대회에서 “구체적으로 늘푸른한국당의 주장을 분명히 하고 그 주장에 맞는 후보를 선출하려고 한다”며 대선 주자 영입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정의화 전 국회의장도 ‘제3지대’를 언급하며 “낡은 이념, 진영논리로 양극단에 가 있는 ‘친모(某)’를 배제한 ‘정상지대’를 만들어야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