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성태 의원, 중국 슈퍼컴 성능에 2.6% 수준 “한국의 슈퍼컴은 현재 동맥경화증”

슈퍼컴 관련부처 80%, 시행계획은 물론 육성시책 조차도 없어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 - 사진:의원실 제공새누리당 김성태 의원 - 사진:의원실 제공


기상청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2015년 기상청이 500여억 원을 들여 사들인 한국의 슈퍼컴퓨터 ‘누리’와 ‘미리’가 중국의 슈퍼컴퓨터 ‘선웨이 타이후라이트’ 성능에 비해 2.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성태 의원(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이 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현재 세계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중국의 ‘선웨이 타이후라이트’는 93.0PFLOPS의 성능을 자랑하는 반면, 한국의 슈퍼컴퓨터 ‘누리’와 ‘미리’의 성능은 2.4PFLOPS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7대)은 슈퍼컴퓨터 보유대수에서도 중국(168대), 미국(165대) 등 슈퍼컴퓨터 주요국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고 슈퍼컴퓨터 활성화를 위한 국가차원의 노력 역시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 의원은 초고성능컴퓨터법 제6조, 제8조에는 관계기관의 장이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시행계획과 육성시책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해당 법에 따른 관계부처는 기획재정부, 교육부, 미래창조과학부, 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중소기업청, 기상청 등 10개의 부서이다. 하지만 현재 미래창조과학부와 기상청만이 시행계획과는 별도의 계획을 수립했을 뿐, 나머지 부처들은 시행계획은 물론 육성시책조차 마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김성태 의원은 “2011년 슈퍼컴 자체개발과 활성화를 장려하는 ‘국가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약칭” 초고성능컴퓨터법)이 제정 되었지만, 법률상 규정에 따른 성과가 미흡하고, 제정 후 5년이 지난 지금 제도운영경험을 바탕으로 한 개정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고 지적했다.


올해 미래부는 보도 자료를 통해 매년 100억 원 가량을 투자하여 2020년까지 1PFLOPS, 2025년까지 30PFLOPS 이상의 슈퍼컴퓨터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미래부에서 2020년까지 확보하고자 하는 슈퍼컴퓨터는 2008년 세계 1위(1.1PFLOPS) 슈퍼컴 수준이며, 2025년까지 확보하고자 하는 슈퍼컴퓨터는 현재 세계 2위(33.9PFLOPS)에 근접하는 성능이다.

관련기사



현재 세계 1위인 중국의 슈퍼컴퓨터 성능향상이 최근 10년간 연평균 61.5%를 기록하였고, 전 세계 슈퍼컴퓨터의 연평균 성능 증가율은 62.1%를 기록하는 등 약 60%씩 성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슈퍼컴퓨터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미래부의 계획대로 개발된 슈퍼컴퓨터가 초고성능 컴퓨터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김 의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반이라 할 수 있는 슈퍼컴 사업이 뒤처지고 있는 현실이 우려됨과 동시에 투자계획을 밝힌 미래부의 슈퍼컴퓨터 담당자가 융합기술과 사무관 1인으로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업무를 총괄하고 있는 상황” 이라면서 “대규모의 투자계획을 밝힌 국가적 관심 사업을 1명의 인력만으로 총괄할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또한, 김성태 의원은 “중소기업·산업체에 슈퍼컴퓨터 데이터 지원을 통하여 적은 자본으로 새로운 사업을 창출해낼 수 있지만, 현재 중소기업·산업체에 대한 슈퍼컴퓨팅 기술의 접근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원천기술발전의 핵심인 R&D분야의 지원 역시 미흡한 상황” 이라면서 “국회차원에서 중소기업과 산업체, R&D 분야 등에서 슈퍼컴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 장순관 기자

장순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