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배추가 아니라 '금(金)추'… 폭염에 전년比 124% ↑

9월 들어 10㎏당 2만874원까지 급등

소매價는 6일 현재 포기당 8,035원

배추값 고공행진 10월까지 이어질 듯

※평년치는 최근 5년의 일별반입량중 최소치와 최대치가 제외된 3개년 월별 평균값.   <자료: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평년치는 최근 5년의 일별반입량중 최소치와 최대치가 제외된 3개년 월별 평균값. <자료: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


지구 온난화로 인한 고랭지의 재배면적이 감소하고, 마른 장마와 폭염까지 겹쳐 작황이 나빠진 탓에 배추의 도매가격이 전년 대비 124% 급등했다. 도매가격 급등에 장바구니 가격인 소매가도 전월 대비 106% 올랐다. 준(準) 고랭지의 배추가 나오는 10월까지는 배추 값이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7일 한국은행 강원본부에 따르면 8월 기준 가락시장 배추(상품 10㎏ 기준)의 도매가격은 1만5,25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4% 상승했다. 이는 최근 5년 평균 대비 92.5% 높은 수준이다.

8월 초순 1만304원이었던 배추 도매가는 중순 1만4,082원, 하순에는 2만157원까지 올랐다. 9월 들어서는 1~6일 평균 2만874원 선에서 거래가 되고 있다. 지난해 9월(5,682원)과 비교하면 267.4%나 비싼 수준이다.


도매가격이 급등하면서 장바구니 물가도 급등했다. 6일 기준 배추 1포기당 가격은 8,035원으로 1개월전(3,904원)과 비교하면 106% 상승했다.

관련기사



한은은 배추값 급등 원인을 두 가지로 꼽았다. 우선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고랭지 지역에서 배추 재배 면적이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강원지역의 고랭지 배추 재배면적은 4,368㏊로 2013년(5,099㏊)과 비교하면 14.3% 감소했다. 한은은 올해 들어서는 재배 면적이 전년 대비 3.8%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여기에 올해 가뭄과 폭염이 겹치면서 해충과 화상, 병해가 확산하면서 생산량이 급감했다. 고랭지 배추 최대 산지인 대관령의 7월 하순에서 8월 중순의 강수량은 38.4㎜로 평년(352.3㎜)의 10% 수준에 그쳤다. 이로 인해 생산량이 30% 내외 감소할 것이란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이 같은 배추 값의 고공행진이 10월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 관계자는 “김치 제조업자가 납품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도매시장에서 원재료 조달에 나서고 있다”며 “준고랭지 2기작 배추가 출하되는 10월까지는 (배추 가격이)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김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