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치아 표면의 에나멜 생성 메커니즘 밝혀져

충치 등으로 손상된 부분 복구방법 개발에 탄력

마그네슘이 치아 표면의 단단한 법랑질(에나멜)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에나멜이 손상된 치아 보호·치료방법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쿠웨이트대와 호주 시드니대 등 국제공동연구진은 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한 연구논문에서 치아의 구성성분을 원자 단위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관련기사



에나멜은 우리 몸에서 가장 단단한 부분으로 대부분 수산화인회석(HA)이라는 물질로 이뤄졌다. 연구진은 HA 사이사이에 들어있는 비정질 인산칼슘(ACP)이 마그네슘 이온과 결합해 단단한 HA가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ACP는 HA보다 산성 물질에 잘 녹는다.

박주철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는 “에나멜 형성과정과 구조를 원자 수준에서 이해한 이번 연구는 충치 등으로 손상된 치아의 에나멜을 원래대로 다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레이저와 무기질 이온을 조합해 충치 등으로 손상된 에나멜을 본래 상태로 회복시키는 치료법 개발에 기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