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일동안 찾지 못한 실종 치매 노인, 경찰견이 투입 1시간만에 발견

경찰과 소방 당국이 나흘 동안 찾아내지 못한 실종 치매 노인을 경찰견이 투입 1시간여 만에 찾아냈다. /출처=고양경찰서경찰과 소방 당국이 나흘 동안 찾아내지 못한 실종 치매 노인을 경찰견이 투입 1시간여 만에 찾아냈다. /출처=고양경찰서


경찰과 소방 당국이 나흘 동안 찾아내지 못한 실종 치매 노인을 경찰견이 투입 1시간여 만에 찾아냈다.

8일 경기 고양경찰서는 지난 3일 오후 7시경 집을 나선 뒤 실종된 치매 노인 김모(75) 씨를 경찰견 ‘미르’가 6일 오전 발견했다고 밝혔다.


치매를 앓고 있는 김 씨는 이전에도 몇 차례 집을 나선 뒤 집에 돌아오지 못해 지하철역 등지에서 발견된 전력이 있다.

실종 신고를 받은 경찰은 김 씨의 주거지 일대를 수색했지만 그의 흔적을 찾지 못했고, 다음날 수색 범위를 확대해 CCTV 화면을 분석한 결과 김 씨가 집에서 3km 떨어진 야산의 산책로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경찰과 소방 당국이 일대를 샅샅이 뒤졌으나 김 씨를 찾지 못했고, 결국 경찰은 6일 오전 10시경 경찰견 미르의 투입을 결정했다.

관련기사



김 씨가 평소에 쓰던 베게의 체취를 인지한 미르는 곧장 주택 인근 숲으로 달려가 1시간 13분간 김 씨의 흔적을 찾아다녔고, 결국 오전 11시 13분경 야산의 한 골짜기에서 쓰러져 있는 김 씨를 발견했다.

김 씨가 쓰러져 있던 골짜기의 움푹 팬 곳은 사람이 바로 옆을 지나가도 쉽게 볼 수 없는 위치였다. 김 씨는 수분 부족으로 탈진 상태였지만, 다행히 생명에 지장이 있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르는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이 지난 6월 도입한 ‘체취증거견’으로 경찰 수색견으로 가장 많이 도입된 벨기에산 ‘말리노이즈’ 견종이다. 체취증거견은 인간의 약 44배인 2억~3억 개의 후각세포를 갖고 있어 은신 중인 용의자, 증거물, 실종자, 시신 등을 수색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현재 서울, 부산, 인천, 대전 등 전국 16개 지방경찰청에서 체취증거견을 활용하고 있다.

나흘 동안 마음 고생을 하다 아버지를 무사히 찾게 된 김 씨의 딸(45)은 “시간이 지체됐다면 아버님 얼굴을 다시는 볼 수 없을 뻔했는데, 경찰관과 미르의 활약 덕분에 아버님을 다시 만나게 되어 정말 기쁘다”며 감사하다는 마음을 전했다.

/김영준인턴기자 gogundam@sedaily.com

김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