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감염병 24시간 비상체제 가동

C형간염·식중독·콜레라 등 잇따른 감염병 발병에

서울시 '감염병 대응 및 안전대책 강화 방안' 마련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등 불법 의료 신고센터 문 열어,

하루 2회 이상 급식 제공 학교 9월까지 점검

최근 C형간염·식중독·콜레라 등 잇따른 감염병 발병에 서울시가 ‘24시간 비상대응체제’ 구축에 나섰다. C형간염 집단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을 뿌리 뽑기 위해 ‘일회용 의료용품 등 불법사용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콜레라 대응을 위해 비상방역대책반을 꾸려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염병 대응 상황 및 안전대책 강화방안’을 8일 발표했다.


시는 우선 서울시 홈페이지에 ‘일회용 의료용품 등 불법사용 신고센터’를 마련했다. 일회용 의료용품을 재사용한다는 신고가 들어오면 환경 검체 수거 등 현장 조사에 들어갈 계획이다.

‘감염병 대비 민관협력체계 구축’ 용역을 통해 △상급종합병원·의료단체와 민관협력위원회 구성 △감염병 확산 시 치료 전문인력 데이터베이스 구축 △감염병 관련 의료인력 교육 △시민 감염병 대처 매뉴얼 마련 등을 실시한다.





최근 국내 발병자가 잇따르고 있는 콜레라에 대한 대책도 내놨다.


시는 지난달 26일부터 콜레라 환자 조기발견·대응을 위한 비상방역대책반을 꾸려 휴일 없이 운영 중이다. 병원·약국·학교 등 시내 1,542개 시설을 지정해 의심환자가 발생했을 때 보건소에 즉시 신고하도록 하는 등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했다.

관련기사



콜레라 의심환자 신고가 들어오면 25개 보건소에서 환자의 검체를 채취·확보하고, 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콜레라 검사·최종 확인을 한다. 필요하면 국립보건연구원으로 균주를 옮기게 된다.

시는 지난달 말부터 대형 수산물 도매시장, 횟집 등 음식점을 대상으로 수족관 물과 수산물을 가져와 콜레라 검사를 하고 있다.

추석 연휴 기차역과 버스터미널 등 9개 지역 주요 교통시설 인근 음식점 245곳을 대상으로 민관합동 점검반을 보내 위생점검, 식중독·콜레라 예방수칙 홍보도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식중독 예방 차원에서 학교 급식 현장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도 이뤄진다.

시는 교육청과 합동 점검반 110명을 꾸려 학교 급식소 493곳, 식재료 공급업소 86곳 등을 대상으로 9일까지 긴급 합동점검을 한다. 식중독 발생 우려가 큰 1일 2급식 학교 257곳에 대해서는 이달 말까지 위생점검을 한다. 또 11월 말까지 시내 초등학교 80곳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1830(하루 8번 30초 이상) 손 씻기’ 교육을 벌인다.

시는 이 밖에도 지카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환자 거주지 인근 지역 모기 감시·방제를 강화하고, 지카바이러스 검사를 16개 민간 의료기관에서도 할 수 있게 했다.

시는 “보건환경연구원이 브라질 리우올림픽 참가자 127명을 검사한 결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