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제조업 고용한파 시작됐다

조선 구조조정·수출부진 여파

취업자 증가 1만명 아래로 추락

8월 고용 2009년후 가장 낮아

8월 제조업부문에서 늘어난 취업자 수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지난 2009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선업 구조조정에다 글로벌 경쟁이 심화된 전자부품·통신장비의 수출부진 여파로 풀이된다.

고용노동부가 8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8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제조업 취업자 수(고용보험 피보험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000명(0.3%) 늘어난 데 그쳤다. 2009년 11월(6,300명) 이후 7년 만에 취업자 증가 수가 1만명 밑으로 떨어진 것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선박·철도·항공장비 등을 제조하는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2만2,200명(-10.6%)이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선박 수주가 급격히 줄어든 영향인데 4월 이후 5개월 연속 감소 흐름이다. 전체 고용규모도 18만7,000명으로 지난해 말 21만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전자부품·컴퓨터·통신장비는 8월 취업자 수가 1만5,800명이나 감소했다. 2014년 1월부터 32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이다. 이 분야는 제조업 고용에서 14.5%를 차지하며 고용규모가 가장 크다. 전체 고용규모는 2013년 9월 57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줄어 51만8,000명까지 떨어졌다.

관련기사



철강 등 ‘1차 금속산업’도 2,500명이 줄며 고용 감소 흐름이 이어졌다. 다만 인구구조 변화와 수출이 늘어난 효과로 식료품·화학은 각각 1만2,000명, 1만명씩 고용이 증가했다.

8월 상시근로자 고용보험 피보험자(취업자) 수는 1,255만5,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33만7,000명) 늘었다. 취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폭은 지난해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둔화했다.

그나마 서비스업이 증가세를 주도했다. 대표적인 저임금 업종인 숙박·음식업의 증가율이 14.1%에 달했고 이어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5.8%), 도·소매업(5.6%) 순이었다./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