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주지진' 피해시설 5,582곳...51% 응급조치 완료

안전처, 공무원과 군인 등 총 5,842명 투입

경주, 울주군 등 주택위험 진단팀 19일까지 활동

중앙피해조사단 21~23일까지 조사해 복구계획 수립

국민안전처는 경주 지진으로 피해를 본 시설의 51%는 응급조치가 완료됐다고 17일 밝혔다. 안전처가 이날 오전 6시 기준으로 집계한 응급조치 실적에 따르면 조치 대상인 5,582곳 가운데 2,848곳(51%)이 완료됐다.

사유시설은 5,276곳 가운데 48.2%의 응급조치를 마쳤으며, 공공시설은 306곳 모두 조치됐다. 응급조치 기준은 건물 균열은 2차 붕괴를 방지하는 안전조치이며, 지붕 파손은 천막설치, 담장·유리파손은 폐기물 처리, 수도배관 파손은 배관교체 등이다. 다만 개인 보험처리 대상인 차량파손(70건)은 응급조치 대상에서 제외됐다.

응급조치에 동원된 인력은 누계 기준으로 공무원 2,413명, 군인 624명, 경찰 131명, 소방 925명, 기타 1,749명 등 모두 5,842명이다.


안전처는 경주와 울산 울주군을 중심으로 주택 위험도를 점검하기 위해 안전진단 지원팀 2개반을 파견해 19일까지 활동할 계획이다. 구조물 안전분야 민간 전문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등으로 구성한 안전진단 지원팀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지진 피해시설물 위험도 평가단’과 함께 2차 피해발생 가능성 등을 점검한다.

관련기사



교육부는 경북과 경남, 울산의 초·중등 40개교를 대상으로 20∼21일 민관 합동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안전처는 지자체가 23일까지 지진피해 조사를 마치면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을 구성해 21∼23일 조사를 벌이며 이달 말에 복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주택 균열로 15일 주민 11명이 대피한 울산 울주군 외와마을의 주택 11채를 긴급 안전점검한 결과 7채는 사용 불가 판정을 받는 등 사흘째 대피 중이다. 지자체는 이 마을 주민들에게 재해구호물자와 생필품을 긴급 지원했으며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이번 지진에 따른 부상자 23명 가운데 9명이 귀가해 현재 14명이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