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위스키 사라진 자리 차지한 와인·맥주

관세청 집계결과 와인이 전체 수입주류 1위…2위는 맥주

2015년 처음으로 1위 뺏긴 위스키는 올해는 3위로 주저앉아

/이미지투데이/이미지투데이


‘고급술’의 대명사였던 위스키의 인기가 시들해진 반면 와인과 수입맥주의 강세는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 1~8월 현재 와인 수입액은 1억2,458만달러로 전체 수입주류 1위를 차지했다. 맥주가 1억1,594만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2000년대 중후반 줄곧 압도적인 주류 수입 1위를 차지하던 위스키는 1억798만달러로 3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와인에 1위를 내준 데 이어 올해는 맥주에 2위 자리까지 빼앗긴 것이다.


지난해 와인 수입액은 1억8,981만달러로 전년보다 4.2%(763만달러) 증가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맥주 수입액은 전년대비 27% 늘어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위스키 수입액은 1억8815만달러로 전년대비 5.1%(1013만달러) 감소했다.

관련기사



이처럼 와인, 수입맥주가 위스키를 제치고 ‘대세’로 떠오른 것은 음주 문화의 변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독한 술보다는 맛과 향을 즐기는 음주 문화가 정착됐다는 것이다. 아울러 경기 불황 탓에 비싼 위스키보다는 와인, 맥주 등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류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어난 영향도 있다는 게 주류업계의 분석이다.

주류 유통채널의 변화도 와인, 맥주의 부상과 위스키의 몰락을 부추겼다. 관세청 관계자는 “2012년부터 대형마트에서의 수입맥주 판매가 늘면서 맥주 수입도 증가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세종=이태규기자 classic@sedaily.com

연유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