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33억원 들인 소방로봇, 화재엔 '무용지물'

33억원을 들여 투입한 ‘소방로봇’이 잦은 고장 등으로 인해 실제 화재 현장에선 전혀 활용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홍철호 새누리당 의원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방당국이 화재현장 진압을 위해 배치한 ‘무인방수로봇’이 최근 2년간 전혀 출동한 적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인방수로봇의 최종 업그레이드 버전인 제3차 소방로봇의 경우 지난 2014년 4월 울산과 경남에 1대씩 배치된 이후 총 4차례 출동했을 뿐이다.

관련기사



경남 김해소방서에 배치된 소방로봇은 배치일 이후 현재까지 관할지역에서 총 593건의 화재가 발생했지만 실제 출동 횟수는 1회였으며 울산 온산소방서는 같은 기간동안 365건의 화재 중 3회 출동했다. 특히 지난 2014년 ‘보여주기식 출동’을 한 뒤 지난해와 올해엔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제1차 소방로봇 중 화재정찰로봇 역시 지난 2011년 12월 42대를 4억 4,000만원 들여 배치했지만 성능미달로 실제 화재현장에서 쓰이지 못해 감사원 지적을 받은 바 있다. 1차 무인방수로봇 16대도 실전 사용횟수가 3회에 그친다. 3차 소방로봇은 1차의 업그레이드 시스템을 탑재해 개발됐지만 무용지물 상태가 유지되는 셈이다.

소방로봇이 화재현장에서 사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기술적 미달 및 한계점 때문이다. 홍 의원이 ‘제3차 소방로봇 고장내역’ 등을 확인한 결과 무선조작과 방수포, 배터리, 메인스위치 등 총체적 문제로 인해 2년간 총 16차례나 수리된 것으로 드러났다.

홍 의원은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이 아닌 실제 생활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부 로봇개발 추진사업’을 전면 재검토해 로봇발전 마스터플랜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