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노후선박 규제·선대 대형화 여파...컨테이너선 해체 늘었다

올 8,000TEU급 미만 106척 해체

선령도 예년보다 크게 낮아져

韓조선 수주잔량 감소세도 지속

노후 선박에 대한 환경 규제 강화와 선대 대형화 추세가 맞물리면서 해체되는 선박 수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체 작업장으로 들어가는 선박들의 선령(船齡)도 예년에 비해 크게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19일 조선·해운 전문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3,000~7,999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선 56척이 해체됐다. 3,000TEU 미만의 컨테이너선도 50척 해체됐다.

3,000~7,999TEU급 컨테이너선이 지난 한 해 총 25척 해체된 것을 고려하면 해체 건수가 8월 현재 이미 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 해체된 3,000TEU 미만 컨테이너선도 64척이었다. 이런 추세라면 3,000TEU 미만 컨테이너선도 지난해 해체 규모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해체되는 선박의 선령도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해체된 3,000~7,999TEU급 총 25척의 컨테이너선 평균 선령은 20.5년이었지만 올해는 17.7년으로 낮아졌다. 3,000TEU 미만 해체 선박의 선령도 같은 기간 23.9년에서 22.2년으로 낮아졌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국내 해운사의 주력 선대이기도 한 8,000TEU 미만 컨테이너선이 비교적 낮은 선령에도 불구하고 활발하게 해체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1만TEU급 이상으로 선대도 대형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지난 2008년부터 8,000TEU 이상의 대형 컨테이너선이 속속 인도되기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컨테이너선이 과잉 상태가 돼 선박 해체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극심한 수주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 잔량도 빠른 속도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의 경우 지난달 말 기준 수주잔량이 709만7,000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로 전월 대비 1.9% 줄었고 현대중공업(울산)과 삼성중공업은 각각 421만CGT와 395만2,000CGT로 같은 기간 1.5%, 0.5%씩 줄었다.

한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