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래의 전쟁에서는 로봇을 속여야 한다

최근 테슬라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패에서 배우는 미래 전쟁의 교훈



고대 중국의 전략가인 손자는 그의 저서 <손자병법>에서 “전쟁은 속임수다.”라고 말했다.

물론 손자가 오늘날 컴퓨터가 전자 이미지를 처리할때 생기는 특유의 문제까지 알았을 리는 없다. 그러나 손자가 제시한 이 원칙은 오늘날의 전쟁에도 그대로 들어맞는다고 할 수 있다. 전쟁이 속임수라면, 미래 전쟁은 로봇을 속이는 일이 될 것이다. 이는 인프라구조 이론가이자 저술가인 제프 마노의 주장이기도 하다. 마노가 이런 주장을 하게 된 계기는 자율주행자동차 역사상 첫 사망 사고였다. 자율주행으로 달리던 테슬라 차량이 트랙터 트레일러의 하얀 차체를 빈 공간으로 인식하고, 제동을 하지 않고 그대로 달려 트랙터 트레일러에 충돌한 것이다. 이로서 테슬라 차량에 타고 있던 사람이 사망하고, 연방 정부의 수사가 실시되었다. 이 사고로 연방 수사관들과 테슬라 사의 엔지니어들에게는 재발 방지를 위한 방법을 찾아야 하는 목적이 생겼다.






그러나 마노는, 군대에서는 이런 사고가 계속 일어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로봇이 판독 가능한 세계에 대한 논의가 있다. 그렇다면 일부러 로봇이 판독할 수 없도록 꾸며진 세계에 대한 논의도 가능할 것이다. 반사율이 너무 높거나, 예측을 뛰어넘는 수준의 빛 흡수율을 가진 소재를 사용해서 로봇의 3D 카메라 및 라이다 장비를 무력화하는 세계 말이다.”라는 글을 썼다.


마노는 인간이 사는 구조물이 있는 공간으로서의 도시를 기획하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이렇게 로봇을 기만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연구할 것을 권한다.

관련기사






위장무늬를 칠한 HMS 킬브라이드 호: 제1차 세계대전에서는 적 잠수함이 어뢰 조준을 정확히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이렇게 괴상한 위장 무늬를 배에 칠했다.위장무늬를 칠한 HMS 킬브라이드 호: 제1차 세계대전에서는 적 잠수함이 어뢰 조준을 정확히 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 이렇게 괴상한 위장 무늬를 배에 칠했다.


자율주행 로봇을 기만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단순한 장난도, 공공 안전에 대한 심각한 도전도 아니다. 이것은 유사시 적의 침공에 맞서 도시를 지키는 방책이 될 것이다. 로봇 연구가 존 로저스는 “반자율주행 로봇을 가진 적군이 도시를 침공해올 경우, 물리력 말고도 이들을 막아낼 수단이 필요해질 것이다. 적군은 주행형 및 비행형 자율 로봇을 사용해 공격해 올 것이다.”라고 말했다.

로봇이 세계를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보는지를 아는 것은 평시 및 전시를 위해 로봇 시각을 개선하고 기만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속임수는 전쟁의 기본이다. 그리고 속임수의 기본은 감각기관, 즉 센서를 속이는 방법을 아는 것이다.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