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요미우리, "日, 북방영토 2개섬 반환 최저 목표로 러와 협상 나선다"

시코탄·하보마이 반환이 하한선

러와 물밑 교감 있었냐는 관측 제기돼

일본 정부가 러시아와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쿠릴열도(일본명 북방영토) 4개섬 중 시코탄과 하보마이 두 섬을 인도받는 것을 하한선으로 정해두고 러시아와 협상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23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그동안 러시아와 평화조약 체결을 맺는 전제조건으로 에토로후·구나시리를 포함한 북방영토 4개 섬 모두를 반환받는 조건을 고수해왔지만 협상 진전을 위해 북방영토 자유방문 및 공동 경제활동 등을 거쳐 최소 2개 섬의 반환을 끌어내기로 전략을 변경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오는 11월 페루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과 오는 12월 야마구치에서 예정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이 같은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푸틴 대통령이 지난 5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 항저우에 방문했을 때 “과거 소련은 하보마이와 시코탄을 일본에 반환할 준비가 돼 있었다”고 말해 양국 간의 물밑 교감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평화조약 체결 후 시코탄 하보마이 두 섬을 인도한다”는 1956년 소일공동선언을 인용한 것으로 일본이 4개 섬 모두를 반환하라고 요구해 협상이 진척되지 않았음을 지적한 것으로 해석됐다.

관련기사



다만 양국의 반대 여론이 장애물이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그동안 여러 차례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패한 뒤 쿠릴열도는 구 소련 영토가 됐다”며 반환 불가 입장을 분명히 해왔다. 요미우리신문도 “일본 정부가 북방영토 4개 섬 반환을 명시하지 않은 채 러일 평화조약 체결에 나설 경우 일본내 반발이 예상된다”며 “정부는 평화조약 체결 이후 러시아가 북방영토 협상에 나서지 않을 가능성도 있는 만큼 러시아 측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신중히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일본은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을 통해 미국 등 연합국과 평화조약을 체결했지만, 러시아와는 북방영토 문제를 둘러싼 이견으로 아직도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다. 양국은 대신 1956년 소일공동선언으로 국교를 회복하면서 “평화조약 체결 후 시코탄, 하보마이를 인도한다”고 합의했지만 이후 협상에 큰 진전이 없었다.

변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