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항생제 남용에…MRSA 닭·칠면조→사람으로 전파 가능성

합성 페니실린인 메티실린 등에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알균(MRSA)에 감염된 닭·칠면조 등 가금류 고기를 먹은 사람들이 MRSA에 감염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과학 전문지 사이언스데일리 등에 따르면 덴마크·미국 공동 연구팀은 덴마크 국립혈청연구소(SSI)에 보관된 MRSA 감염자 혈액 데이터베이스 등을 조사하다 농장을 방문하거나 식용 가축과 접촉한 적이 없는 도시주민 10명이 같은 종의 MRSA에 감염된 사실을 발견했다.


이 MRSA는 덴마크에선 한 번도 발견된 적이 없지만 네덜란드·독일·프랑스 등 유럽 다른 나라에서는 발견되는 균종이었다. 연구팀은 이들 나라에서 질병예방과 성장촉진을 위해 항생제를 남용하며 사육한 닭·칠면조 등 가금류를 수입해 먹은 게 감염의 원인일 것으로 결론 내렸다. MRSA는 돼지·소고기나 유제품에서도 드물게 발견됐으나 이로 인한 인체감염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관련기사



연구논문의 주 저자인 코펜하겐연구소의 로베르트 스코브 박사는 “각국이 식품유통과정에서 대장균·살모넬라 등 여러 세균에 오염됐는지 감시하고 있으나 MRSA 등은 제외돼 있어 위생감시 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국경·대륙을 넘어 감염이 확산될 수 있으므로 전세계가 항생제 사용 줄이기에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에 참여한 랭스 프라이스 미국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인간이나 동물에게 항생제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항생제 내성균의 감염은 더 흔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메티실린·옥사실린 등 합성 페니실린 계열 항생제는 페니실린에 내성을 가진 황색포도알균 치료에 널리 쓰여 왔으나 MRSA에는 잘 듣지 않는다. 황색포도알균은 피부·장기에 고름을 유발하며 심내막염, 뇌수막염, 폐렴, 골수염 등 전신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영국 옥스포드대학의 학술지 ‘임상감염질환’(CID·Clinical Infectious Disease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