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19 응급환자 병원 재이송 급증...전문의 부재가 주 원인

응급환자 이송하는 119 구조 대원의 모습 /사진=연합뉴스응급환자 이송하는 119 구조 대원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119 구급차로 병원에 도착한 응급환자가 다른 병원으로 재이송되는 사례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목숨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기면 응급 치료의 골든 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기동민 위원과 보건복지부, 국민안전처 등이 제출한 ‘119구급차 재이송현황’ 자료를 보면 119구급차 병원 재이송 사례는 2013년 8,021건에서 2014년 1만2,510건, 2015년 1만9,544건으로 최근 3년간 14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또 올해 상반기에만 5,277건이 재이송돼 최근 3년간 4만5,352명의 응급환자가 첫 번째 병원에서 진료를 받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병원의 거부 사유로는 ‘전문의 부재’가 10만537건(23.2%)으로 가장 많았고, ‘진료과 없음’이 6,069건(13.4%), ‘병상 부족’이 3,922건(8.6%), 의료장비 고장으로 인한 재이송한 횟수가 774건(1.6%)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만2,734건(28.1%)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8,276건(18.2%), 부산 4,049건(8.9%), 대구 3,623건(8.0%), 전북 2,459건(5.4%) 등의 순이었다. 기동민 의원은 “보건당국 차원에서 응급의료이송정보망 재구축, 응급의료체계 효율화, 응급실 당직 의사 처우 개선, 응급장비 구비 등의 노력을 기울여 응급환자들이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정수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