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창덕궁 앞 역사 숨 쉬는 공간으로 탈바꿈

돈화문로, 삼일대로 등 4개 길 재생 사업 본격화





서울 창덕궁 앞에서 종로3가와 탑골공원까지 이어지는 길이 400년 역사가 압축된 공간으로 바뀐다.


서울시는 26일 ‘역사인문재생’ 계획을 발표, 오는 2018년까지 창덕궁 앞 돈화문로(조선시대)·삼일대로(근대전화기)·익선∼낙원(근현대)·서순라길(현대) 4개 길을 재생하기로 했다.

이곳은 정치·역사·문화·공간적 측면에서 한양도성 한복판이라는 중요한 위상을 지니고 있지만 현재 낙후돼 정체성이 모호해졌다.


계획에 따라 조선시대 전국 도로망 기점이었던 돈화문로는 차 중심 도로에서 보행 중심 거리로 바뀐다. 이를 위해 길거리 가게에서도 역사적 분위기가 묻어나도록 ‘가(街)꿈가게 지원사업’으로 개별 점포 리모델링을 지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3·1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삼일대로는 그 정신을 이어받아 3·1운동 100주년 기념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탑골공원은 원형 복원을 검토하고 역사적 장소에 표석을 설치한다. 시는 3·1운동 100주년인 2019년까지 3·1운동 탐방 루트와 투어 프로그램 개발을 가시화할 계획이다.

익선∼낙원에 이르는 지역은 조선 왕조가 해체되던 당시 궁궐에 있던 기녀들이 저자로 나와 궁중요리·한복·음악 등 다양한 궁중문화를 일반인들에게 알린 대중문화의 중심지였다. 이곳은 신흥문화 재창조 공간으로 바뀐다. 시는 우선 낙원상가에 옥상공원과 열린 무대를 만들고 어두침침한 하부 공간도 개선한다. 낙원상가 하부와 연결되는 돈화문로 11길은 자유롭게 거리공연(버스킹)이 펼쳐지는 대표적 음악 거리로 조성한다.

종묘 옆 종로귀금속타운에 있는 서순라길은 공예창작 거리로 가꾼다. 한옥을 개·보수하고 도로 포장을 개선해 한옥공방 특화길을 만들고 내년 3월 주얼리 비즈니스센터 2관을 개관한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창덕궁 앞 역사인문재생계획에 앞으로 총 2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2018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말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