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면돌파냐 타협이냐...고민 깊어진 丁의장

'녹취록 공세' 정면반박 속

2野 대표에 국감연기 제안

국회 정상화 타협점 모색

새누리당의 사퇴 요구로 정치적 압박을 받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26일 오전 국회 본청 의장실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새누리당의 사퇴 요구로 정치적 압박을 받는 정세균 국회의장이 26일 오전 국회 본청 의장실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26일 정세균 국회의장은 평소와 달리 굳은 표정으로 국회에 출근했다. 새누리당이 자신을 향해 사퇴와 형사고발을 거론하며 파상공세를 펼치자 그는 취재진의 쏟아지는 질문에도 “대변인이 답변할 것”이라는 말만 남긴 채 의장실로 향했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 과정에 확인된 녹취록에서 ‘정치 거래’ 논란이 불거지며 고민이 깊어진 모습이다.


정세균 의장은 이날 여당에서 자신이 해임건의안 처리를 하지 않는 조건으로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기간 연장, 어버이연합 청문회 개최를 거래하려고 했다는 점을 정면 반박했다. 정 의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김재수 농식품부 장관 해임건의안뿐만 아니라 ‘조선·해운 부실 규명 청문회’ ‘백남기 농민 국가폭력 진상규명을 위한 국회 청문회’ 등과 관련해 여야 간 대립된 문제를 협의와 타협으로 마무리되도록 하기 위해 방미 전부터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며 “(공개된) 대화 내용은 이 같은 노력에도 여야 간 협상과 타협이 이뤄지지 않고 해임건의안이 표결로 처리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회의장으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했다는 것이다.

정 의장은 “야당이 해임건의안 제출을 결의한 상황에서 물러설 수 있는 걸(명분을) 줘야 하는데 새누리당이 요지부동이라 협상의 여지가 없었던 것 아니냐”고 여당을 나무라며 한발도 물러서지 않았다.


자신에게 쏟아지는 공세를 적극 반박한 정 의장은 국정감사 첫날부터 파행을 빚고 있는 국회 정상화를 위한 노력도 병행했다. 정 의장은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를 만나 “반쪽 국감을 그냥 진행하는 것보다는 국감을 2~3일 연기하는 것이 좋겠다”며 국감 일정을 조정하는 방안을 타협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우 원내대표가 즉각 반대 입장을 밝혀 성사되지는 않았지만 정 의장은 두 야당 원내대표에게 “국회를 정상화할 의무가 나에게 있지 않느냐”며 국회 정상화 노력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관련기사



자칫 국회 파행이 길어진다면 정 의장 본인에게도 정치적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 1일 정기국회 개회사 발언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른데다 또다시 야당 출신 국회의장으로 야당 편을 들며 정치적 중립 의무를 위반하고 국회 파행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이 불거질 수 있어서다.

정 의장은 오는 29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로 예정된 호주 믹타(MIKTA) 국회의장 회의 참석 일정도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 지금 같은 상황에 해외 출장을 이유로 자리를 비우는 것은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정 의장은 “오늘까지 국회 정상화가 안 되면 일정을 좀 줄여서 가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